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제2형당뇨병 환자에서 고혈압 약제의 사용과 당뇨망막증 발생 위험의 연관성 연구

발행일 2017.06.30
연구방법 4
연구책임자 박상준, 이진이
조회수 3277
원문다운로드


▢ 연구 배경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혹은 인슐린 작용의 결함으로 인한 고혈당으로 특징지어지는 대사 질환이다. 당뇨병의 미세혈관 합병증의 하나인 당뇨병성 망막병증은 성인에서 발생하는 저시력 및 실명의 주요한 원인이다. 혈압강하제 사용으로 적정 혈압관리 시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위험은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러 고혈압 약제들 중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renin-angiotensin system inhibitors, 이하 RAS 억제제)에 속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이하 ACEI)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ngiotensin ll receptor blocker, 이하 ARB)가 다른 혈압강하제보다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뇨와 고혈압이 동반된 환자에게 1차 처방약제로 권고되고 있다.

▢ 연구 목적 및 내용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당뇨환자들의 고혈압 약제 사용의 현황을 파악하고, 권고되는 RAS 억제제 사용이 당뇨병성 망막병증과 당뇨병성 안병증의 발생을 예방하는데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제 2형 당뇨가 새롭게 발생한 환자에게서 고혈압 발생시 최초로 처방받는 약물이 RAS 억제제인 경우와 다른 고혈압 약제를 처방받은 경우의 당뇨병성 망막병증(또는 당뇨병성 안병증)의 발생률을 비교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보험청구자료, 자격자료 및 국가일반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6년 1월 1일에서 2011년 12월 31일까지 제2형 당뇨병이 새롭게 발생한 환자중에서 당뇨진단 후 동일 기간에 최초로 항고혈압 약제를 처방받은 이력이 있는 환자이다. 고혈압약제를 최초로 처방받은 시점을 입적시점(initiation date, cohort entry date)로 정의 하였다. 대상자 중 입적일 이전 암, 심근경색증 및 뇌졸중으로 입원한 기록이 있거나, 말기신부전,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 동맥/정맥 폐쇄, 신장질환, 기타 망막장애 진단력이 있거나 유리체내 주입술을 받은 기록이 있는 경우 제외하였으며, 입적일 이전 국가일반건강검진 수검 기록이 없는 경우 자료의 제한으로 인해 제외하였다.
연구대상자가 연구기간 중 최초 처방받은 항고혈압제가 RAS 억제제인 경우, ‘RAS 억제제군(RAS inhibitor group)’으로 정의하였으며, 베타 차단제, 칼슘통로 차단제, 알파 차단제, 혈관확장제 등 인 경우 ‘기타 약물군(no-RAS inhibitor group)’으로 정의하였다. 1차 결과지표는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발생이며, 2차 결과지표는 당뇨병성 안병증(백내장, 녹내장, 망막 동맥/정맥 폐쇄)이다.
 최종 선정된 연구 대상자를 결과지표가 발생된 시점까지 추적하였다. 최소 추적관찰기간은 2년이다. 사망으로 인해 의료 기록이 더 이상 없는 경우 사망시점, 연구기간동안 생존했으나 연구종료일(2013년 12월 31일)까지 결과지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는 연구종료일을 중도절단(Censoring)으로 정의하였다.
두 군간에 단순 결과지표 발생율과 카플란-마이어(Kaplan-Meier, KM) 그림을 제시하여 기본적인 특성과 발생 경향을 요약하였다.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임상적 요인들을 보정한 콕스비례위험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구축하여 결과지표 발생 위험비(Hazard ratio, HR)를 추정하였고,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 및 유의확률(P-value)을 함께 제시하였다. 또한 민감도 분석으로 표준화 사망비 방법(Standardized mortality/morbidity ratio, SMR)을 적용한 콕스비례위험모형을 제시하였다. 표준화 사망비 방법에서는 대상자의 기저특성을 공변량으로 추정한 성향점수를 사용하여 보정하였다.

▢ 연구결과
연구대상자는 52,446명이었으며 이 중 RAS 억제제군 20,916명(40%), 기타 약물군 31,530명(60%)이었다. 1차 결과지표인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발생률은 RAS 억제제군  29.9%, 기타 약물군 27.1%로 RAS 억제제군에서의 발생률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표준화 사망비 방법을 적용한 경우, RAS 억제제군 29.9%, 기타 약물군 34.0%로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2차 결과지표인 당뇨병성 안병증의 발생률은 RAS 억제제군  12.4%, 기타 약물군 13.1%로 큰 차이가 없지만 표준화 사망비 방법을 적용한 경우, RAS 억제제군 15.4%, 기타 약물군 22.3%로 기타 약물군에서의 발생률이 높았다.
콕스비례위험모형 분석을 수행 결과, 가중치 방법 적용 이전의 항고혈압 약제 분석 대상자에서 기타 약물군은 당뇨병성 망막병증 발생 위험비가 0.89배(95% CI: 0.86, 0.92; p<0.0001)로 RAS 억제제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당뇨병성 안병증 발생 위험비도 0.96배(95% CI: 0.92, 1.01; p=0.1530)로 RAS 억제제군보다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반면, 표준화 사망비 방법을 적용한 경우, 기타 약물군은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발생 위험비가 RAS 억제제군보다 1.15배(95% CI: 1.11, 1.19; p<.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당뇨병성 안병증의 경우에도 기타 약물군의 발생 위험비가 RAS 억제제군보다 1.68배(95% CI: 1.60, 1.77; p<0.0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위그룹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당뇨의 위중도가 낮고, 혈관질환이 없는 상대적으로 건강한 군에서는 RAS 억제제를 사용한 군의 당뇨병성 망막병증 발생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결론
본 연구결과, 제2형 당뇨신환자에게서 고혈압 발생시 일차적으로 권고되는 RAS 억제제를 복용한 경우가 다른 고혈압 약물을 복용한 경우에 비하여 당뇨에 의한 망막병증과 안병증의 발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RAS 억제제의 복용이 예방적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최초 처방약물로 RAS 억제제 이외의 고혈압 약제도 상당수 사용되고 있어, 당뇨환자 관리 가이드라인을 준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당뇨 및 당뇨관련 합병증 관리에 대한 하나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관상동맥질환의 저위험/중등도 위험 환자군에서 관상동맥 CT 조영술과 심근 SPECT 간의 경제성 평가
다음글 루푸스 신염 환자에서 초기 치료요법 간 비교효과 연구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