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연구
사업내용
- 보건의료기술에 대한 국가적인 근거 개발을 위한 연구의 지원
- 국민건강 개선효과 분석 및 연구개발 수요 분석
- 보건의료기술에 관한 근거분석 및 평가결과의 보급‧확산
- 근거기반 임상진료지침의 개발 및 보급에 대한 지원
- 국내외 보건의료 관련 기관과의 교류‧협력 및 보건의료에 관한 통계‧정보의 수집‧관리 등
추진체계
중점 추진 방향
의약품·의료기기를 포함한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유효성 및 경제성 등에 관한 과학적 근거 분석을 기반으로 보건의료 의사결정 지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는 정책 및 임상진료지침 개발과 국민 치료 선택권 보장을 위해 활용
- 정책적 의사결정 - 제한된 의료자원의 합리적인 분배를 위한 정책 근거 제시
- 임상진료지침 개발 지원 - 대한의학회와 함께 임상진료지침 공동 개발 및 연구방법론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사회적 의사결정 - 국민의 치료 선택권 보장을 위해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은 지양하고 과학적으로 입증된 치료법을 선택할 수 있도록 의료정보 제공
Research Field
- 의료행위
- 의료서비스
- 보건의료체계
- 임상진료지침
- 의약품
- 의료기기
- 치료재료
주요연구
- 고도 비만환자 대상 비만수술의 효과 및 경제성 분석
- 골관절염환자에서 글루코사민의 임상적 효과
- 미용 건강증진 목적 정맥주사제 안전성 및 유효성
- 미용성형시술 정보집
- 만성 B형간염 항바이러스제 장기 사용 환자의 약물사용과 합병증 위험도에 대한 비교효과연구 등
사업별 주요 내용
- 재평가사업 - 재평가사업은 정부의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발표(17년 8월 9일)에 따라 의료기술의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 등을 주기적으로 검증하는 연구사업입니다. 의료현장에서 최적의 의료기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급여항목 적절성 평가, 미검증 의료기술에 대한 검증 등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도록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 정책연구사업 - 정책연구란 정부가 수행하는 보건의료 정책에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고,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를 의미합니다. 정부, 유관기관과의 협력연구 수행으로 보건의료 환경과 현안을 분석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상시적으로 소통하여 근거기반 보건의료 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 임상근거연구사업 - 임상근거연구는 의료계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근거 생성과 연구에 필요한 교육을 수행하는 사업입니다. 대한의학회와 MOU를 체결하여 임상진료지침을 공동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방법론 교육프로그램도 운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