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상동맥 내 쇄석술 - 중증 석회화*로 인해 스텐트 삽입이 예정된 신생** 관상동맥 질환자의 석회화된 플라크를 분쇄하여 제거함으로써 협착성 신생 관상동맥을 확장시키는 기술임 * 관상동맥 안에 칼슘이 쌓여 딱딱하게 굳는 현상 ** 기존 혈관이 손상되거나 막혔을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혈관이 생기는 현상 - 관상동맥 스텐트를 삽입하기 전에, 석회화된 병변 부위에 저압 풍선 카테터를 위 치시키고 음압 펄스(acoustic pressure pulse)를 가해 석회화 플라크(Calcified plaque)를 분쇄하여 제거하는 방식임 - 기존에 사용되는 회전 죽종절제술***과 비교했을 때, 이상반응 및 부작용 발생 률, 시술 성공률, 혈관 협착 개선 효과, 시술 시간 및 입원기간이 유사하여 안전 성과 유효성이 수용 가능한 기술임 *** 회전하는 미세 칼날을 혈관에 삽입하여 석회화 플라크를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기술 ○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의 고주파 절제술 - 경화제 치료가 어려운 두경부 미세낭 림프관기형* 또는 미세낭 정맥림프관기형* 환자의 증상을 완화하는 기술임 * 드물게 발생하는 혈관 기형으로 두경부 영역, 주로 넓적다리, 궁둥이, 위팔, 겨드랑이, 혀 등에 여러 개의 황색 소수포가 발생하는 질환 - 병변의 위치를 확인한 후 전극을 병변에 삽입 후 고주파 전류를 가하여 미세낭과 격막 등의 병변을 전기 소작하는 기술이며, 필요 시 초음파 유도하에 사용함 - 동 기술은 간단한 처치로 해결 가능하거나 경미한 합병증을 보고하여 안전성은 수용 가능한 수준이며, 시술 후 병변의 부피가 감소되고 증상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나 유효한 기술임 ○ 식도재건술 시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혈행조영술 - 식도 절제 후 식도재건술을 받는 식도종양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위관의 혈 류 상태를 평가하는 기술임 - 수술 중 인도시아닌그린*을 정맥 주입한 후, 근적외선 광원을 조사하여 형광 발현 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위관의 혈류 상태를 평가함 * 근적외선 영역의 형광염료로 주로 의료용 시약으로 사용됨 - 동 기술은 의학 교과서 및 전문가 합의문에서 수술 중 위관 혈류 평가를 위한 방법으 로 권고되고, 문합 부위* 선택 및 문합부 누출** 위험 감소에 도움을 주는 기술로 제 시되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임 * 수술을 통해 연결된 장, 혈관, 신경 등의 부위 ** 수술 후 연결한 부위의 내용물이 새는 현상으로, 수술 후 이환율과 사망률 증가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음 ○ 근적외선 인도시아닌그린 간 및 담도 조영술 - 간절제술, 간적출술 또는 담낭절제술이 필요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중 간 절제 구역, 간종양의 위치 및 담도 주행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담도 손상을 줄이기 위한 기술임 - 수술 전 또는 수술 중 인도시아닌그린을 정맥 주입한 후, 근적외선 광선을 수술 부위에 조사하여 형광 발현된 영상을 확인함으로써 담낭관과 총담관을 포함한 중 요한 간외 담관 구조를 정확히 파악하는 방법임 - 동 기술은 기존의 인도시아닌그린 정맥 주입술과 안전성이 유사하며, 가이드라인 및 의학교과서에서 간절제술, 간적출술 및 담낭절제술 시 간구역, 간종양의 위치, 담도 주행을 효과적으로 식별하여 담도 손상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기술로 제 시되어 있어 안전하고 유효한 기술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