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경 및 목적
근거중심 보건의료 연구 분야에서 체계적 문헌고찰(메타분석 포함)이 주요 연구 방법으
로 자리매김하고 있지만, 표준적 방법론의 부재, 체계적 문헌고찰간의 변이성, 보고 내용의
다양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표준적 방법론에 기초한
매뉴얼을 개발하여 확산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실정에 적합한 중재법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임상진료지침
개발 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이다.
2. 연구방법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의 틀을 구성하기 위해 대표적 의료기술평가기관의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및 의료기술평가 매뉴얼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목차를 결정하였다.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방법론을 차용하는 형식을 주로 취하였으며 필요시에는 타당도 검증(validation)을 통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에 사용할 도구를 선정하였다. 또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경험의 노하우를 tip으로 정리하여 실제적 연구 수행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더불어, 기존 체계적 문헌 고찰의 이용, 신속 체계적 문헌고찰과 같이 최근 의료기술평가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이를 소개하는 내용도 매뉴얼에 수록하였다. 임상진료지침 개발 매뉴얼의 경우, 2009년에 개발한 임상진료지침 작성 간이 매뉴얼을 근간으로 개발된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의 내용을 수정하여 개정하였다.
3. 연구결과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의 목차는 표 1과 같다.
PART Ⅰ. 체계적 문헌고찰
1. 개요
2. 연구기획과 프로토콜 작성
3. 문헌검색
4. 문헌선택 및 분류
5. 자료추출
6. 비뚤림 위험 평가
7. 자료분석과 결과제시
8. 근거수준 평가와 결론의 도출
9. 보고서 작성
PART Ⅱ. 메타분석
1. 메타분석의 개요 및 자료종류
2. 메타분석
3. 이질성(Heterogeneity)
4. 보고 비뚤림(Reporting bias)
5.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PART Ⅲ. 체계적 문헌고찰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
1.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의 활용(Using Existing Systematic Reviews)
2. 신속 체계적 문헌고찰 (Rapid systematic review)
부록
부록 1.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PRISMA)
부록 2. 체계적 문헌고찰의 질평가 도구(AMSTAR)
부록 3. 연구설계 별 검색필터(Search filters)
부록 4. 보건의료 자료 정보원(Healthcare Information Resource) |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체계적 문헌고찰에 사용하기로 결정한 도구 및 지침은 다음과
같다(표 2).
항목 |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선정한 도구 |
문헌분류도구 |
DAMI(Study Design Algorithm for Medical literature of Intervention) |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 무작위배정 비교임상 연구 |
Cochrane's Risk of Bias |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 비무작위 연구 근거수준 결정 비뚤림 위험 평가도구: 체계적 문헌고찰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 |
RoBANS(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zed Study) GRAD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AMSTAR(Assessment of multiple systematic reviews)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
체계적 문헌고찰과 관련된 주요 이슈로는 기존의 체계적 문헌고찰의 활용(Using Existing Systematic Reviews)과 신속 체계적 문헌고찰(Rapid systematic reviews)을 선정하였다.
임상진료지침 개발 매뉴얼의 경우 검색 부분과 비뚤림 위험 평가 부분을 중심으로 개정 하였으며 개정된 AGREE 2를 반영하여 매뉴얼을 개정하였다(표 3).
제 1부. 기획
1단계. 진료지침 주제 선정
2단계. 진료지침 개발그룹 구성
3단계. 기존 진료지침 검토
4단계. 개발 계획 수립
5단계. 핵심질문 결정
제 2부. 개발
6단계. 근거의 검색
7단계. 근거의 평가
8단계. 근거의 종합
9단계. 권고안 작성, 권고등급 결정
10단계. 합의안 도출
제 3부. 최종화
11단계. 외부검토 및 갱신계획
12단계. 진료지침 출판 |
4. 고찰 및 결론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결과의 일관성을 증대시키고, 연구결과가 국제적 표준에 부합하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체계적 문헌 고찰과 임상진료지침 작성 매뉴얼을 개발하였다. 향후 매뉴얼을 적절히 활용하면 한국보건의료연구원과 국내에서 출판되는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임상진료지침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
다.
1. Background and Objectives
Although the systematic reviews(including meta-analyses) has been placed as the major research performing methodology in the field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research, the following problems including the absence of standard methodology, variation between systematic reviews, and diversity of reported contents were present.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anual based on standard methodology and distribute its usage by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lies on the development of nationally appropriate systematic reviews manual for intervention and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evelopment manual.
2. Methods
To organize the outline for the systematic reviews manual, the systematic reviews manual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anuals of representativ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organization have been reviewed to determine the contents of the study. For its study, borrowing internationally accepted methodologies has been mainly applied and the tools for the study of systematic reviews have been selected through the appropriateness validation when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Also, the know-hows for the systematic reviews research experience were also organized as the tips to be helpful in performing practical research works.
In addition, the manual also selected the currently issuing topics of the recent systematic reviews field as like the usage of existing systematic reviews and the rapid systematic reviews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opics at the manual. In cas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anual, the systematic reviews manual that wa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impl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develeopment manual that was developed in 2009 was modified for its revision.
3. Results
The contents of the systematic reviews manual were listed as in Table 1.
PART Ⅰ. Systematic reviews
1. Introduction
2. Preparation of study planning and protocols
3. Searching for studies
4. Selecting of studies and classification
5. Data extraction
6. Assessing the risk of bias
7. Data analysis and result presentation
8. Evaluation for level of evidence and drawing conclusions
9. Preparation of a report
PART Ⅱ. Meta-analyses
1. Introduction of meta-analyses and types of data
2. Meta-analyses
3. Heterogeneity
4. Reporting bias
5. Sensitivity analysis
PART Ⅲ. Major issues related to the systematic reviews
1. Using existing systematic reviews
2. Rapid systematic reviews
Appendices
Appendix 1. Reporting guideline for the systematic reviews (PRISMA)
Appendix 2. Quality assessment tool for the systematic reviews (AMSTAR)
Appendix 3. Search filters by study design
Appendix 4. Information Resources of healthcare data |
Decision made in the manual development process is as follows.
Tools for Systematic reviews |
Tools selected at NECA |
Tools for study design classification |
DAMI (Study Design algorithm for medical literature of intervention) |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Randomized clinical trial |
Cochrane's Risk of Bias |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
RoBANS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
Non-randomized studies Grading |
Non-randomized Study) GRADE (The Grading of Recommendations Assessment, Development and Evaluation) |
Risk of bias assessment tool: |
AMSTAR (Assessment of multiple |
Systematic reviews |
systematic reviews) |
Reporting guideline: Systematic |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
reviews |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
As the major issues related to the systematic reviews, the usage of existing systematic reviews and rapid systematic reviews were selected.
In the revision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anual, major revision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viewing and bias risk assessment parts, which was progressed by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 revised AGREE 2(Table 3).
Part 1. Planning
Step 1. Selec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pics
Step 2. Organization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developing group
Step 3. Reviewing of exist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tep 4. Establishment of development plans
Step 5. Definition of key questions
Part 2. Development
Step 6. Searching of evidences
Step 7. Assessment the quality of evidences
Step 8. Integration of evidences
Step 9. Formulation of recommendations, decision of recommendation grade
Step 10. Drawing of agreements
Part 3. Finalizations
Step 11. External review and updating plan
Step 12. Publica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4. Discussion and Conclusions
The present systematic reviews an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 development manual were developed to increase the consistency of the systematic reviews that are performed at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and to help the study results to be more corresponded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If the present manual is appropriately utilize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nationwide publication of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and in improving the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Executive summary
요약문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2. 연구목적 및 주요내용
2. 연구방법
2.1.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도구 선정
2.1.1.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도구 조사
2.1.2. 연구설계 분류도구
2.1.3. 비뚤림 위험 평가 도구
2.1.4.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 지침
2.2.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개발
2.2.1. 국내외 자료 조사 및 현황
2.2.2.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2.2.3. 메타분석 매뉴얼
2.2.4. 체계적 문헌고찰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
2.3. 의료기술평가 관련 정보원(information resource)
2.4. 임상진료지침 개발 매뉴얼 개정
2.4.1. 임상진료지침 작성 매뉴얼
3. 연구결과
3.1.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도구 선정
3.1.1. 체계적 문헌고찰 관련 도구
3.1.2. 연구설계 분류도구
3.1.3. 비뚤림위험 평가도구
3.1.4.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 지침
3.2.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개발
3.2.1. 국내외 자료 조사 및 현황
3.2.2.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3.2.3. 메타분석 매뉴얼
3.2.4. 체계적 문헌고찰과 관련된 주요 이슈들
3.3. 의료기술평가 관련 정보원(information resource)
3.3.1. 캐나다
3.3.2. 코크란 연합
3.3.3. 한국보건의료연구원
3.4. 임상진료지침 개발 매뉴얼 개정
4. 고찰
5. 결론 및 정책제언
6.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