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새로운 항지혈제 (항응고제 및 항혈소판제) 사용의 안전성 및 효과 분석

발행일 2018.05.31
연구책임자 박덕우, 윤지은
조회수 3369
원문다운로드

요약문 i


Executive Summary


I. 서론 1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1

    1.1. 급성관상동맥증후군 및 심방세동 1

      가. 급성관상동맥증후군 1

      나. 심방세동 5

    1.2. 항지혈제 9

      가. 항혈소판제 9

      나. 항응고제 11

  2. 연구의 필요성 15

  3. 연구 목적 16

    3.1. 급성관상동맥증후군에서 새로운 항혈소판제 16

    3.2. 심방세동에서 새로운 항응고제 17


II. 선행연구 18

  1. 항혈소판제 18

    1.1.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연구 18

    1.2. 임상(real-world) 자료를 분석한 연구 19

  2. 항응고제 24

    2.1.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연구 24

    2.2. 임상(real-world) 자료를 분석한 연구 25


III. 관상동맥증후군에서 새로운 항혈소판제 35

  1. 연구방법 35

    1.1. 자료원 35

    1.2. 연구설계 36

      가. 연구대상자 36

      나. 공변량 37

      다. 결과지표 정의 37

    1.3. 통계분석방법 38

  2. 연구결과 40

    2.1. 대상자 선정 40

    2.2. 대상자 기저특성 41

      가. 전체 대상자 41

      나. 매칭 대상자 41

    2.3. 항혈소판제 사용에 따른 임상결과 48

      가. 항혈소판 사용에 따른 안전성 48

      나. 항혈소판 사용에 따른 임상적 효과성 48

    2.4. 하위그룹 분석결과 53


IV. 심방세동에서 새로운 항응고제 57

  1. 연구방법 57

    1.1. 자료원 57

    1.2. 연구설계 58

      가. 연구대상자 58

      나. 항응고제 사용 정의 59

      다. 결과지표 정의 59

      라. 공변량 60

    1.3. 통계분석 61

      가. 통계분석 방법 61

      나. 하위그룹 분석 62

      다. 민감도 분석 62

  2. 연구결과 63

    2.1. 대상자 선정 63

    2.2. 항응고제 사용현황 64

    2.3. 대상자 기저특성 64

      가. 전체 대상자 특성 64

      나. 성향점수 보정 후 대상자 특성 65

    2.4. 항응고제 사용에 따른 임상결과 69

    2.5. 하위그룹 및 민감도 분석결과  78

      가. 하위그룹 분석: 항응고제 용량별 78

      나. 하위그룹 분석: 뇌졸중 과거력 여부 83

      다. 민감도 분석: 75세 미만이면서 만성 신장질환이 없는 군 88



V. 고찰 93

  1. 새로운 항혈소판제 93

  2. 새로운 항응고제 94


Ⅵ. 결론 및 정책제언 98


Ⅶ. 참고문헌 99


Ⅷ. 부록 103

  부록 1. 항혈소판제 약물코드 정의 103

  부록 2. 항응고제 약물코드 정의 104

  부록 3. 결과변수 정의 105

  부록 4. 동반상병 및 약물코드 정의 107

  부록 5. TWANG method를 이용한 성향점수 보정후 항응고제 그룹간 balance 111

  부록 6. Real-World data를 이용한 선행연구 요약 112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883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연구사업관리팀)
이전글 수술의 질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담낭절제술 합병증 발생 위험도 예측모델 개발
다음글 미숙아에서 폐표면활성제의 선택적 사용과 예방적 사용에 따른 비교효과연구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