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수면호흡장애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의 평가

발행일 2012.07.15
연구방법 4
연구책임자 신상진
조회수 3793
원문다운로드
연구목적

수면호흡장애  진단에서의  수면다원검사의  임상적  근거를  확인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부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면호흡장애  진단  시  수면다원검사의  진단정확도에  관련한  근거를  확인한다.  둘째,  의학교과서  및  관련  임상가이드라인  검토를  통하여  수면호흡장애  진단  시  수면다원검사의  의학적  근거를  확인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1차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수면다원검사의  과학적  근거(Scientific evidence)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근거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의학적  표준(Medical standard)을  확인하는  절차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면호흡장애에서의  수면다원검사의  진단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PubMed(998건),  KoreaMed(115건)를  검색하였으며,  이  중에서  수면호흡장애 진단  시  수면다원검사(Attended  full  night  polysomnograhy)의  정확성에  관한  문헌이 있는지  검토하였다.

둘째,  의학적  표준(Medical  standard)을  검토하기  위해  임상전문가(대한수면의학회,  대한수면연구학회  소속)  2인을  대상으로  자문회의를  통하여  검토할  교과서와  임상가이드라인을  선정하였다.  검토한  2권의  의학교과서는  Principles  &  Practice  of  Sleep Medicine(5th  ed.)과  Sleep  disorders  medicine:  basic  science,  technical considerations,  and  clinical  aspects(3rd  ed.)이었고,  임상가이드라인은  미국수면의학회에서  발간한  3편을  검토하였다(Practice  Parameters  for  the  Indications  for Polysomnography  and  Related  Procedures:  An  Update  for  2005;Practice parameters  for  the  respiratory  indications  for  polysomnography  in  children; Clinical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management  and  long-term  care  of obstructive  sleep  apnea  in  adults).



연구결과

수면호흡장애  진단에  있어서의  수면다원검사의  진단정확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선정배제기준을  충족하는  원저를  찾을  수  없었다.  수면다원검사가  의학수면호흡장애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의  평가적으로  표준이  되는  검사법(gold-standard)으로  제시되고  다른  검사법(분할야간수면다원검사,  휴대용수면다원  검사  등)의  민감도/특이도  등을  보고한  연구가  다수였다.  그  밖에  수면다원검사의  결과  일치도,  검사  후  부작용,  임상적  판단의  중요성  등을  보고하고  있었다.

즉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수면다원검사의  진단정확도에  대한  근거를  찾을  수  없어  본 연구에서는  의학적  표준(Medical  standard)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문  회의를  통해  선정된 교과서  및  임상가이드라인을  검토하였다.  검토한  모든  교과서  및  임상가이드라인에서는  수면호흡장애  진단  및  중증도  평가  시  수면검사실에서의  시행하는  수면다원검사가  가장  표준
적인  검사방법임을  명시하고  있다.  수면호흡장애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  시  뇌파(EEG),  안전도(EOG),  턱  근전도(Chin  EMG),  호흡기류(Airflow),  혈중산소포화도(Blood  oxygen  saturation)등의  지표를  확인해야  한다.  하지만  수면검사실에서  시행하는 수면다원검사의  경우에도  측정하는  밤  간의  차이(Night-to-night  variability),  검사  -  재검사의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평가자간  및  평가자내  인식오류(Intra-rater, inter-rater  event  recognition  errors)  등으로  인해  환자를  정확하게  진단/분류하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수면다원검사의  기술정확도,  신뢰도가  보장되기  위
해서는  검사가  이루어지는  수면검사실  환경,  수면다원검사의  표준화,  전문적인  수면기사의 지속적인  감독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의  경우  수면검사실에서  편안할  수  있도록  보다  주의  깊은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되고  있다.

수면다원검사가  수면호흡장애  진단  시  의학적  표준이  되는  검사법이라는  것은  본  연구에서  검토한  교과서  및  가이드라인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내용이었다.  하지만  수면다원검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제한점이  있어  수면다원검사를 변경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하룻밤에  수면호흡장애의  진단과  치료를  위한  CPAP
의  적정압력을  찾는  것을  모두  수행하는  분할야간검사(Split  night)가  표준적인  수면다원검사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하였으나  밤이  아니라  낮  시간  동안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Daytime  nap)은  여러  한계점으로  추천되지  않았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수면다원검사는  수행  시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방법으로  사전검사를  통하여  수면호흡장애를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은  환자군을  선별한  후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는  방안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또한  수면다원검사와  함께  과거력,  신체검사와  같은  사전검사  결과를  모두  함께  고려한  포괄적  수면검사를  통하여  관련  전문의가  수면호흡
장애를  진단해야  함을  언급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검토한  교과서  및  임상가이드라인에서는  수면호흡장애  진단  및  중증도 수면호흡장애  진단을  위한  수면다원검사의  평가평가  시  수면검사실에서  수면기사의  감독  하에  시행하는  수면다원검사를  가장  표준적인  검사방법(gold  standard)으로  명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면다원검사의  기술정확도,  신뢰도가  보장되기  위해서는  검사가  이루어지는  수면검사실  환경,  수면다원검사의  표준화,  전문적인  수면기사의  지속적인  감독  등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수면다원검사가  표준적인 검사법(gold  standard)이지만  단독으로  사용되기  보다는  과거력,  신체검사와  같은  사전검사  결과를  함께  고려한  포괄적  수면검사를  통해  관련  전문의가  수면호흡장애를  진단하
는 것이  적절하다.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환자 안전 확보를 위한 한국형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다음글 불명열에서 FDG PET/PET-CT 검사의 진단 정확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