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슬관절 혹은 고관절 인공관절치환술 환자의 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항응고제요법 비교연구

발행일 2012.12.31
면수 219
연구방법 4
연구책임자 안정훈
조회수 4018
원문다운로드

인공관절치환술 중 슬관절과 고관절 치환술은 각각 국내 보험 청구 수술 중 입원일수 1위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슬관절 치환술은 전체 수술비용의 3위, 전년도 대비 가장 증가한 주요 수술 3위를 차지하였다. 정맥혈전색전증은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에서 발생하는 매우 심각한 합병증이지만, 현재 국내에서 발간한 슬관절 인공관절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권고안이 아직 없으며, 고관절의 경우 예방권고안이 출판되었으나 국내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대부분 외국 문헌들을 기반으로 작성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 고관절 및 슬관절 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예방과 관련한 약제 사용 현황 및 약제별 효과를 비교하고,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원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요양기관 청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2007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2012년 3월 심사분 포함)까지 5년 동안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들을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총 354,029건의 명세서를 대상으로 인공관절치환술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인공관절치환술 후 정맬혈전색전증 발생 및 예방약물요법간 비교, 위험요인 파악을 위해 청구자료 중 2010년 1월 ~ 2010년 12월에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자를 코호트로 정의하였으며, 최종 선정된 고관절 치환술의 분석 대상자는 22,127명이었고, 슬관절 치환술 분석 대상자는 52,882명이었다.


우리나라 인공관절치환술 수술건수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총 354,029건이었으며 이 중 고관절은 107,348건, 슬관절은 246,681건으로 해마다 수술건수가 증가하고 있다.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인원은 총 320,583명으로 이중 남성이 63,751명, 여성이 256,832명으로 남성보다 4배나 많았다. 또한, 총진료비는 약 2조 5,059억원이었고 급여비는 약 2조 409억으로 급여비율이 81.4%였다.


2007~2011년까지 요양기관 종별 인공관절치환술 현황은 고관절과 슬관절이 다른 경향을 보였다. 고관절 치환술은 종합병원급(43.6~45%)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는 반면 슬관절 치환술은 병원급(50~59.9%)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었다.


3개월내 정맥혈전색전증은 고관절 치환술이 853명(3.8%)였고, 이중 심부정맥혈전증는 597명(2.7%), 폐색전증는 327명(1.5%)였다. 슬관절 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은 1,990명(3.8%)였고, 심부정맥혈전증는 1,699명(3.2), 폐색전증는 355명(0.7%)였다.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여부별 정맥혈전색
전증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고관절 치환술에서는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약 5.7배 정도 높았고, 수술종류별로는 재 부분치환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은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군이 36.4%,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없는 군이 2.3%로 약 16배의 차이를 보였다. 슬관절 치환술에서는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약 5배 정도 높았고 수술종류별로 두 군간 차이가 특이적으로 큰 종류는 없었다. 고관절 치환술과 슬관절 치환술 모두 일관되게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대상자에서 정맥혈전색전증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관절 및 슬관절 인공관절치환술을 받은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예방약물요법에 따른 정맥혈전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그리고 폐색전증 발생을 비교한 결과, 약물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 비해 약물을 사용한 군에서 전반적으로 발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환자군을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유무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예방약제를 사용한 군에서 정맥혈전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 발생이 높았다. 한편, 슬관절 치환술 환자 중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경우 일부 약물군에서 정맥혈전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 발생이 낮게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전체 고관절 치환술 환자 중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여성,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뇌졸중 과거력, 항응고제 사용 과거력이며, 심부정맥혈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항응고제 사용 과거력 및 ICU를 이용하는 경우였다.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전체 고관절 치환술 환자의 폐색전증 발생 위험요인은 여성,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암 과거력, 항응고제 사용 과거력, 마취시간이다.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없는 고관절 치환술 환자 중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뇌졸중 과거력 및 CVP 삽입이다.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없는 고관절 치환술 환자의 심부정맥혈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ICU 이용과 마취시간이며, 폐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여성과 CVP 삽입이다.


전체 슬관절 치환술 환자 중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항응고제 사용 과거력이며, 심부정맥혈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항응고제 사용 과거력, 수술시 마취종류 및 적혈구 수혈량이다.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전체 슬관절 치환술 환자의 폐색전증 발생 위험요인은 여성,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 뇌졸중 과거력, 심부전 과거력, 항응고제 사용 과거력 그리고 적혈구 수혈량이다.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없는 슬관절 치환술 환자 중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하지정맥류 과거력 및 적혈구 수혈량이다.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없는 슬관절 치환술 환자의 심부정맥혈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적혈구 수혈량이며, 폐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심부전 과거력 및 혈소판 수혈이다.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없는 슬관절 치환술 환자 중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들에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의 위험요인은 적혈구 수혈량, 심부정맥혈전증 발생 위험요인 또한 적혈수 수혈량이다. 폐색전증의 경우 심부전 과거력과 혈소판 수혈량이 위험요인이다.

우리나라는 인구 고령화로 인공관절치환술이 급증하고 있으며, 정형외과 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약물예방요법과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인공관절 치환술 후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을 파악한 결과,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경우 과거력이 없는 경우에 비해 발생이 5배 정도 많이 발생하므로 정맥혈전색전증 과거력이 있는 경우 예방요법의 실시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정맥혈전색전증 예방을 위한 약물예방요법간 비교에서 예방약물요법을 실시하지 않은 환자들 중에는 압박스타킹 등의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는 환자와 아무런 예방요법을 실시하지 않는 환자가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약물예방요법이 정맥혈전색전증의 발생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킨다고 할 수는 없다.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보건의료 의사결정에서 비용-효과성에 관한 아시아 공동연구
다음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중장기 발전 계획 수립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