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간섬유화검사

발행일 2024.12.31
연구책임자 이현아
조회수 424
원문다운로드 간섬유화검사.pdf [다운로드수 : 163] 바로보기
해당 게시물의 목차, 국문요약, 영문요약을 제공합니다.

평가배경

‘간섬유화검사(Liver Fibroscan)’는 간의 탄력도를 신속하게 측정하여 간섬유화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진단방법이다. 간섬유화는 간 내 염증이 오랫동안 발생한 후 생성되는 반흔성 변화를 말하며, 섬유화 진행 정도에 따라 F0에서 F4까지 병기로 나눈다. 간세포 덩이를 섬유화 밴드가 둘러싸는 재생결절이 관찰될 경우는 최종 단계인 F4에 해당하며, 병리학적으로 이를 간경변증이라고 한다. 간섬유화검사는 신의료기술평가 제도 시행 전 도입된 등재비급여 기술이다(보건복지부고시 제2007-36호, 2007. 5. 1.).

동 기술은 유관기관 요청을 통해 재평가 안건으로 발굴되었다. 다양한 대체 의료기술이 존재하는 현시점에서 비교기술 대비 동 기술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자, 2024년 제2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4. 2. 16.)에서 재평가 계획서 및 소위원회 구성안에 대한 심의를 받고 재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목적

본 평가의 목적은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검사가 간섬유화의 진단 및 간경변으로의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하는데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지에 대한 근거를 제공하고 동 기술 사용에 대한 권고수준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평가방법

간섬유화검사에 대한 안전성 및 효과성 평가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방법은 평가목적을 고려하여 “간섬유화검사 소위원회(이하 ‘소위원회’라 한다)”의 논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소위원회 구성은 소화기내과 2인, 영상의학과 2인, 진단검사의학과 1인, 근거기반의학 1인의 전문가 6인으로 구성하였다.

본 평가의 대상자는 만성 간질환 환자이며, 참고표준검사는 간생검, 비교검사는 영상검사(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 혈액검사(mac-2 binding protein glycosylation isomer (M2BPGi), 혈청 간섬유화검사, Fibrosis-4, aspartate aminotransferase to platelet ratio index (APRI))로 정의하였다. 결과변수로는 안전성과 효과성을 확인하였으며, 안전성은 검사 관련 부작용 및 이상반응과 위음성 및 위양성으로 인한 위해를 결과지표로 설정하였고, 효과성은 진단정확도와 의료결과에 대한 영향을 결과지표로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핵심질문을 토대로 국외 3개(Ovid-MEDLINE, Ovid-EMBASE, EBM Reviews- Cochrane Central Register of Controlled Trials), 국내 3개(KoreaMed,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KMbase),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최종검색일 2024. 3. 26.). 

최종 선택된 연구의 비뚤림위험 평가는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2 (QUADAS-2)를 사용하였다. 사전에 정한 자료추출 서식을 활용해 자료를 추출하여 진단정확도를 2x2표로 제시하고, 양적 분석이 가능한 경우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과정은 2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의견이 불일치한 경우 평가자 간 합의를 통해 일치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평가는 소위원회의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에서 최종심의 후 권고등급을 결정하였다.


평가결과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최종 선택된 연구는 총 64편(총 대상자 수 10,942명)으로, 출판연도 별로는 2020년대 20편, 2010년대 40편, 2000년대 4편이었다. 연구수행 국가는 중국이 1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한국 8편, 일본 및 이탈리아 각 7편 순이었다. 연구의 비뚤림위험 평가결과, 대부분의 연구에서 비뚤림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안전성

간섬유화검사의 안전성은 검사 관련 부작용 및 이상반응, 위음성 및 위양성으로 인한 위해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해당 지표를 보고한 문헌은 없었다. 소위원회에서는 동 검사는 간섬유화를 진단하는 여러 검사 중의 하나로서 체외에서 이루어져 환자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고, 동 검사로 인한 치료지연이나 과잉진단이 발생할 우려는 낮기 때문에 안전한 기술로 평가하였다.


효과성 

간섬유화검사의 효과성은 진단정확도, 의료결과에 대한 영향으로 평가하고자 하였으나, 의료결과에 대한 영향을 보고한 연구는 없었다.

간섬유화 F2 단계 이상에서의 진단정확도는 선택연구 64편 중 49편에서 보고하였으며, 메타분석 결과 간섬유화검사 (49편)의 통합민감도는 0.79 (95% CI 0.76-0.82), 통합특이도 0.82 (95% CI 0.78-0.85), 통합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이하 AUC) 0.87 (95% CI 0.84-0.90)이었다.

비교검사별 진단정확도는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25편)의 통합민감도가 0.81 (95% CI 0.77-0.84), 통합특이도 0.79 (95% CI 0.72-0.85), 통합 AUC 0.86 (95% CI 0.83-0.89)이었으며,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8편)의 통합민감도는 0.83 (95% CI 0.74-0.90), 통합특이도 0.84 (95% CI 0.73-0.91), 통합 AUC 0.91 (95% CI 0.88-0.93)이었다. M2BPGi (4편)의 통합민감도는 0.70 (95% CI 0.53-0.83), 통합특이도 0.72 (95% CI 0.57-0.83), 통합 AUC 0.77 (95% CI 0.73-0.81)이었으며, 혈청 간섬유화검사(5편)의 통합민감도는 0.82 (95% CI 0.77-0.86), 통합특이도 0.70 (95% CI 0.57-0.80), 통합 AUC 0.84 (95% CI 0.80-0.87)이었다. Fibrosis-4 (12편)의 통합민감도는 0.73 (95% CI 0.65-0.79), 통합특이도 0.67 (95% CI 0.52-0.78), 통합 AUC 0.76 (95% CI 0.72-0.80)이었으며, APRI (21편)의 통합민감도는 0.71 (95% CI 0.62-0.78), 통합특이도 0.75 (95% CI 0.65-0.83), 통합 AUC 0.79 (95% CI 0.75-0.82)이었다.

간섬유화 F3 단계 이상에서의 진단정확도는 선택연구 64편 중 41편에서 보고하였으며, 메타분석 결과 간섬유화검사(41편)의 통합민감도는 0.81 (95% CI 0.77-0.84), 통합특이도 0.83 (95% CI 0.80-0.86), 통합 AUC 0.89 (95% CI 0.86-0.92)이었다.

비교검사별 진단정확도는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20편)의 통합민감도가 0.85 (95% CI 0.80-0.89), 통합특이도 0.84 (95% CI 0.80-0.88), 통합 AUC 0.91 (95% CI 0.88-0.93)이었으며,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7편)의 통합민감도는 0.86 (95% CI 0.78-0.92), 통합특이도 0.84 (95% CI 0.77-0.88), 통합 AUC 0.91 (95% CI 0.88-0.93)이었다. M2BPGi (3편)의 통합민감도는 0.55 (95% CI 0.32-0.77), 통합특이도 0.84 (95% CI 0.72-0.91)이었으며, 연구 수가 적어 통합 AUC는 산출할 수 없었다. 혈청 간섬유화검사(4편)의 통합민감도는 0.73 (95% CI 0.60-0.83), 통합특이도 0.70 (95% CI 0.64-0.76), 통합 AUC 0.75 (95% CI 0.71-0.79)이었고, Fibrosis-4 (11편)의 통합민감도는 0.58 (95% CI 0.38-0.76), 통합특이도 0.80 (95% CI 0.67-0.89), 통합 AUC 0.77 (95% CI 0.73-0.81)이었으며, APRI (11편)의 통합민감도는 0.65 (95% CI 0.51-0.76), 통합특이도 0.78 (95% CI 0.68-0.86), 통합 AUC 0.78 (95% CI 0.74-0.82)이었다.

간섬유화 F4 단계에서의 진단정확도는 선택연구 64편 중 48편에서 보고하였으며, 메타분석 결과 간섬유화검사(48편)의 통합민감도는 0.88 (95% CI 0.84-0.91), 통합특이도 0.86 (95% CI 0.83-0.89), 통합 AUC 0.94 (95% CI 0.91-0.95)이었다.

비교검사별 진단정확도는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22편)의 통합민감도가 0.86 (95% CI 0.80-0.91), 통합특이도 0.88 (95% CI 0.83-0.91), 통합 AUC 0.93 (95% CI 0.91-0.95)이었으며,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6편)의 통합민감도는 0.86 (95% CI 0.79-0.91), 통합특이도 0.85 (95% CI 0.71-0.92), 통합 AUC 0.91 (95% CI 0.88-0.93)이었다. M2BPGi (3편)의 통합민감도는 0.72 (95% CI 0.37-0.92), 통합특이도 0.74 (95% CI 0.50-0.89)이었으며, 연구 수가 적어 통합 AUC는 산출할 수 없었다. 혈청 간섬유화검사(7편)의 통합민감도는 0.78 (95% CI 0.59-0.90), 통합특이도 0.83 (95% CI 0.61-0.94), 통합 AUC 0.86 (95% CI 0.83-0.89)이었다. Fibrosis-4 (12편)의 통합민감도는 0.62 (95% CI 0.51-0.72), 통합특이도 0.84 (95% CI 0.75-0.90), 통합 AUC 0.78 (95% CI 0.74-0.81)이었으며, APRI (20편)의 통합민감도는 0.60 (95% CI 0.47-0.72), 통합특이도 0.82 (95% CI 0.73-0.88), 통합 AUC 0.78 (95% CI 0.74-0.81)이었다.


결론 및 권고결정

의료기술재평가 소위원회에서는 현재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간섬유화검사는 체외 진단검사로, 인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아 안전한 기술로 평가하였다. 동 검사의 효과성은 비교검사의 진단정확도와 비교하여 혈액검사보다는 높고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와는 유사한 수준이었다. 이에 소위원회는 동 검사가 만성 간질환 환자의 간섬유화 진단 및 간경변으로의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술로 판단하였다. 다만, 본 평가는 만성 간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제한하여 검토하였으므로 만성 간질환이 없는 대상의 경우에는 결과 해석에 주의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2024년 제9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4. 9. 6.)는 ‘간섬유화검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심의하였다.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간섬유화검사는 인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아 안전하며, 진단정확도는 혈액검사보다 높고 횡파 탄성 초음파 영상, 자기공명 탄성도 검사와 유사한 수준이므로, 만성 간질환 환자에서 간섬유화의 진단 및 간경변으로의 진행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데 간섬유화검사의 사용을 ‘권고함’으로 결정하였다.


주요어

만성 간질환, 간섬유화, 간섬유화검사, 순간탄성측정법, 진단정확도, 안전성, 효과성

Chronic Liver Diseases, Liver Fibrosis, Fibroscan, Transient Elastography, Diagnostic Accuracy, Safety, Effectiveness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변실금에서의 천수신경조절술
다음글 자궁경부확대촬영검사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