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보도자료

신장이식환자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치료 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위험 62% 낮춰의 작성자, 작성일, 내용을 제공합니다.
[ 보도자료 ] 신장이식환자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치료 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위험 62% 낮춰
작성자 대외협력홍보팀
작성일 2022.10.31 조회수 971
언론사
링크
파일
신장이식환자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치료 시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위험 62% 낮춰
신장이식 합병증 줄이기 위해 중등도 이상 위험군에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치료 필요
국내 장기이식코호트 데이터 분석 결과 임상적 효과 확인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한광협)이 신장이식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예방요법의 효과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신장이식 전체 환자 중 60~80%의 환자에서 보고될 정도로 흔하게 발생하는 합병증이다.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은 이식장기에 대한 거부반응 위험을 증가시키며 이식장기의 생존율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존율과도 연관이 있다.

  *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 CMV): β-herpesvirinae에 속하는 약 235,000 염기쌍으로 구성된 이중나선의 DNA 바이러스로, 체액, 타액, 이식된 장기의 조직 등 세포에 의해 전파됨

 ○ 현재 국내 신장이식환자의 거대세포바이러스 예방에 대한 진료지침과 관련 대규모 연구가 없어 이식센터마다 다른 기준으로 예방요법을 시행하고 있다.

□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국내 신장이식환자에게 시행중인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관련 예방요법의 실태를 파악하고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신장이식환자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예방요법의 효과 분석’ 연구를 수행했다.

□ 2014년부터 2020년까지 장기이식코호트(KOTRY) 연구에 등록된 환자 2,76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중등도 이상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위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예방적 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감염 위험도를 62% 낮췄다.

  * 예방적 치료: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여부와 상관없이 이식 후 일정 기간에 항바이러스제를 투약하는 경우를 말함

 ○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률 발생은 100인년(person-years)당 예방적 치료군에서는 5.29, 예방적 미치료군에서는 10.97로 치료군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낮았다.(HR 0.49, 95% CI 0.37-0.64, p<0.01)

○ 이를 다변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여러 영향을 주는 요인을 고려 후 감염위험도를 파악했을 때에도 예방적 치료군의 위험도는 미치료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HR 0.38, 95% CI 0.29-0.51, p<0.01)

 ○ 4주 이상 예방적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한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신장이식 후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과 이식 신장 거부반응의 빈도 및 위험도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 국제 가이드라인에서는 저위험군을 제외한 모든 환자에서 이식 후 예방적 항바이러스 사용을 권고하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중등도 이상의 감염위험을 가진 89.7%의 환자 중 실제로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치료를 4주 이상 시행한 환자는 14.8%에 불과했으며, 진료지침에서 권고하는 약물인 ganciclovir와 valganciclovir 이외의 약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 연구책임자 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정경환, 김진숙 교수팀은 “국내 신장이식 환자에서 예방적인 항바이러스제 투여는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과 이식 신장 거부반응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라며,

 ○ “현재 고위험군에만 인정되는 예방적 항바이러스제 사용의 급여 기준을 중등도 위험군까지 확대하는 것에 대해 정책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

□ 공동 연구책임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고민정 선임연구위원은 “20개의 국내 신장이식센터의 대규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효과를 확인한 연구로, 향후 국내 진료지침 기반 마련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이전,다음 게시물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이전글 ’22년 8차「신의료기술의 안전성·유효성 평가결과 고시」개정
다음글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국내형 구강노쇠 진단 기준과 치료법에 대한 전문가 합의 도출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