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조혈모세포이식에서 다양한 이식원의 최적사용을 위한 근거마련 연구

발행일 2021.05.31
연구책임자 문준호, 신상진
조회수 1958
원문다운로드

▢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조직적합성 일치공여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안공여자의 사용에 대한 근거를 창출하기 위한 연구이다. 특히 해외 타인공여자와 반일치공여자 간의 이식성적을 비교하여 이식원간의 적절한 선택을 제안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대한조혈모세포이식 레지스트리(KBMTR)에 등록된 환자 중 2015년 1월부터 2018년 6월까지 동종조혈모세포이식술을 시행한 환자의 자료를 검토하였다. 주요 선정기준은 혈액질환으로 진단된 환자, 동종조혈모세포이식술을 일차로 시행한 환자, 그리고 형제공여자 및 국내 타인공여자는 조직적합성항원 일치 또는 하나의 대립유전자 불일치(one allele mismatch)로 한정하였다. 


▢ 연구결과

연구기간에 해당하는 환자 2945명의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667명의 환자는 자료미비(257명), 2차 이상 이식(369명), 타인공여자 중 조직적합성항원 불일치(41명)로 제외되어 2,278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이식원별 환자 수는 형제공여자 780명(34.2%), 국내 타인공여자 773명(33.9%), 해외 타인공여자 50명(2.2%) 및 반일치공여자 675명(29.6%)이었다. 주요 진단은 급성골수성백혈병(854명, 37.5%), 급성림프구성백혈병(500명, 21.9%) 및 골수형성이상증후군(357명, 15.7%) 순 이었다.  

해외 타인공여자(3년 전체생존율 57.1%) 또는 반일치공여자 이식(57.0%)은 형제공여자(68.0%) 및 국내 타인공여자 이식(68.9%)에 비하여 전체생존율에서 열등함을 보였다(p<0.001). 그러나 해외 타인공여자와 반일치공여자 간의 전체생존율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64). 이식 후 급성 이식편대숙주병의 발생이 형제공여자에 비하여 대안공여자에서 증가를 보이나, 대안공여자(국내 타인공여자, 해외공여자 및 반일치공여자) 사이에서는 누적발생률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여자간의 만성 이식편대숙주병의 누적발생률은 차이가 없었다. 

최근 이식 후 성공적인 이식을 반영하는 GRFS (GVHD-free Relapse-free Survival) 측면에서 형제공여자 및 국내타인 공여자에 비하여 해외공여자 및 반일치공여자가 생존율 감소를 보였으나, 해외공여자 및 반일치공여자 사이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결론 및 제언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대안공여자로서 해외 타인공여자와 반일치공여자 사이 이식성적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해외 타인공여자를 구하지 못하는 경우 반일치공여자도 대안공여자로서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동종 조혈모세포이식, 대안공여자, 해외 타인공여자, 반일치공여자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신의료기술평가와 의료기술재평가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의료기술재평가 대상 기준 마련
다음글 국가 결핵비결핵항산균 자료연계를 통한 결핵지표 개발 및 정책평가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