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

발행일 2024.04.30
연구책임자 이슬기
조회수 138
원문다운로드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pdf [다운로드수 : 11] 바로보기
해당 게시물의 목차, 국문요약, 영문요약을 제공합니다.

평가배경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는 질병 치료 목적이 아닌 예방 목적으로 비타민 D를 보조투여하여 골다공증 예방과 뼈와 근육의 통증 완화, 감염예방, 면역력 강화 등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한다.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는 안전성 및 효과성 근거를 검토하여 대국민정보를 제공하고 근거기반 의료정보를 확산하고자 내부 모니터링을 통해 발굴된 주제로, 대상선별 임상자문회의 및 우선순위 심의에서 재평가 적합성과 필요성이 있고, 2023년 제5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에서 재평가 대상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 임산부 및 영유아, 폐경기 여성에서 질병을 예방하는데 비타민 D 보조투여의 안전성 및 효과성에 대한 의과학적 근거평가를 통해 의료기술의 적정사용 등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평가방법

비타민 D 보조투여에 대한 안전성 및 효과성 평가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의 검토를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방법은 평가목적을 고려하여 “비타민 D 보조투여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성 평가 소위원회(이하 ‘소위원회’라 한다)”의 논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소위원회 구성은 내분비내과 1인, 노년내과 1인, 가정의학과 1인, 산부인과 1인, 소아청소년과 1인, 근거기반의학 1인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평가의 핵심질문은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 보조투여가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가?”이었고 안전성은 고칼슘뇨증, 고칼슘혈증, 비타민 D 과다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부작용, 효과성은 근골격계(질환),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 당 대사 및 부갑상선호르몬, 감염과 면역계(질환) 지표로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핵심질문을 토대로 국외 3개, 국내 3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으며, 문헌선정 및 배제기준에 따라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선별하고 선택하였다. 선정된 체계적 문헌고찰은 AMSTAR 2 (A MeaSurement Tool to Assess systematic Reviews)를 이용하여 방법론적 질을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의 비뚤림위험 평가와 자료추출은 모두 두 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의견 불일치가 있을 경우 논의하여 합의하였다. 자료분석은 정량적 분석이 불가능하여 정성적 분석을 적용하였다.


평가결과

체계적 문헌고찰의 검토결과, 핵심질문을 충족하는 문헌 총 19편을 선정하였고, 대부분의 문헌은 2010년 이후에 출판되었다. 비뚤림위험 평가결과, 전반적 신뢰도가 ‘매우 낮음’은 94.7% (18편), ‘낮음’은 5.3% (1편)로, 비뚤림위험이 전반적으로 높았다.


안전성

비타민 D 보조투여의 안전성 결과를 보고한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은 5편이었다.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 비타민 D 보조투여의 안전성은 3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에서 보고하였다. 고칼슘뇨증, 고칼슘혈증을 보고한 3편 중 1편에서 비타민 D 보조투여는 위약군 또는 무치료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다른 1편에서는 포함된 일차 연구들에서 이상반응을 보고하지 않았으며, 나머지 1편에서는 고칼슘혈증이 발생한 사례가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비타민 D 과다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부작용은 1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에서 고용량의 비타민 D 투여 이후 이상반응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임신 중 비타민 D 보조투여의 안전성은 1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에서 보고하였다. 임신 중 비타민 D 보조투여군과 위약군 또는 무치료군 간 산모의 고칼슘뇨증, 고칼슘혈증, 신생아ㆍ영아의 고칼슘혈증 발생 위험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타민 D 과다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부작용을 보고한 문헌은 없었다.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 D 보조투여의 안전성을 보고한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은 1편이었으며, 포함된 문헌 중 고칼슘혈증은 위약과 비교한 문헌 1편, 고칼슘뇨증은 무치료군과 비교한 문헌 1편에서 보고되었다. 비타민 D 과다복용으로 인해 발생한 부작용을 보고한 문헌은 없었다. 


효과성

비타민 D 보조투여의 효과성과 관련된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은 16편이었고, 효과성 지표는 근골격계(질환),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 당 대사 및 부갑상선 호르몬, 감염과 면역계(질환) 등을 보고하였다.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 비타민 D 보조투여의 효과성은 11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으로 평가하였다. 근골격계(질환) 지표는 총 3편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보고하였으나 이 중 1편에서만 근골격계 지표 일부가 위약 또는 표준치료 대비 중재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을 보고한 6편 중 혈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은 비타민 D 보조투여가 위약 또는 무치료군에 비해 개선효과가 일관되지 않았다. 당 대사 및 부갑상선호르몬(4편)은 인슐린 저항성 평가지표(Homeostasis model for the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부갑상선 호르몬 수치 등이 비교군(위약, 무치료, 저용량) 대비 중재군에서 일관되게 개선되지 않았으며, 감염과 면역계(질환)은 총 2편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위약군과 중재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임산부 및 영유아를 대상으로 비타민 D 보조투여의 효과성은 총 4편의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에서 보고하였다. 당 대사 및 부갑상선호르몬은 3편의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보고하였으며, 각 지표별로 일관되게 개선된 결과를 보고하지 않았다. 감염과 면역계(질환)은(1편) 비교군(위약, 무치료, 저용량) 대비 중재군에서 천명 발생 위험이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폐경기 여성을 대상으로 비타민 D 보조투여의 효과성을 보고한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은 1편이었다. 근골격계 관련 지표들의 결과가 일관되게 개선되지 않았다. 


결론 및 제언

소위원회는 현재 문헌에 근거하여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의 안전성 및 효과성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 임산부 및 영유아, 폐경기 여성에서 비타민 D 보조투여는 안전하다고 평가하였다. 하지만 본 평가에 검토된 체계적 문헌고찰에서 비타민 D 보조투여로 인한 근골격계, 심혈관계, 당대사, 면역계 관련 지표들에서의 개선결과가 일관되게 확인되지 않았고, 문헌의 수가 제한적이며 해당 연구들의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낮아 소위원회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 임산부 및 영유아, 폐경기 여성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의 효과성에 대한 근거가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향후 비타민 D 결핍 수준 및 적절한 투여 경로, 복용량/투여량, 비타민 D 종류, 장·단기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2023년 제12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3. 12. 8.)에서는 의료기술재평가사업 관리지침 제4조제10항에 의거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에 대해 심의하였다.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 임산부 및 영유아, 폐경기 여성에서 비타민 D 보조투여는 안전하나 효과성에 대한 근거가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는 소위원회 결론에 원안대로 심의·의결하였다. 아울러 평가대상 및 의료기술을 명확히 하고자 안건명 ‘비타민 D 보충요법’을 ‘비타민 D 결핍 또는 특정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서의 비타민 D 보조투여’로 안건명을 수정·의결하였다. 


주요어

비타민 D 보조투여, 안전성, 효과성

Vitamin D supplementation, Safety, Effectiveness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지방분해주사
다음글 대장암 예방 목적 아스피린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