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론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자살이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1985년 10만 명당 9.1명이던 자살률이 2000년도에는 10만 명당 10.6명, 2011년 10만 명당 31.7명으로 급증하였다. 연령별로 살펴보았을 때 10대, 20대, 30대 모두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며, 10대 청소년의 경우 2000년 이후 전체 청소년 사망자 수는 감소 추세이나 전체 청소년 사망자 중 청소년 자살자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청소년 자살은 넓은 범주로는 학교와 가정, 좁은 범주로는 수면시간, 정신질환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복합적인 결과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러한 다양한 위험요인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 연구를 통해 자살 예방을 위한 정책마련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국내 문헌고찰을 통해 보고된 위험요인
연구방법
국내 선행 연구에서 청소년의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발표하고 있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국외의 발표와 비교하고, 어떤 요인이 주로 영향을 미치는지 대해서 파악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였다. 검색 DB는 국내 대표 DB인 KMBase, NDSL, KoreaMed, RISS이고 검색일은 2012년 8월 13일이다. 키워드 ‘청소년 자살’로 한정하였다.
연구결과
검색 된 문헌은 총 357건(KMBase 63건, NDSL 67건, KoreaMed 50건, RISS 177건)이었다. 제목 검토로 1차 선정된 문헌은 257건이며, 이 문헌의 전문(full-text)을 2차 검토한 결과 자살시도 및 자살 생각을 결과변수(outcome)로 한 문헌은 75건이었다.
최종 선정된 문헌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자살 생각 군과 자살 시도 군으로 분류하여 연구에 포함된 변수 목록과 그 중 유의한 변수를 구분하여 정리하였는데, 자살생각이 결과변수인 문헌은 6건, 자살시도인 문헌은 69건으로 나타났다. 한 문헌에서 여러 개의 결과변수를 보고하는 경우에는 건수를 각각 포함하여 추출하였다.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범주화한 기존 보고는 Hawton 등(2012)의 청소년 자살 위험요인연구에서 제시한 사회인구학 및 교육학적 요인, 개인의 부정적인 삶의 사건 및 가족 역경, 정신질환 및 심리학적 요인, 각종 매체에서 자살행동의 묘사와 자살보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이를 기준으로 국내문헌고찰을 진행해 본 결과, 유사한 범주로 분류가 가능했다. 또한, 이 중에 자살시도군의 위험요인은 정신질환, 성경험, 건강행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자살생각군은 정신적 질환 기타, 정신질환 , 사회적 요인, 성경험 순으로 나타나 자살시도군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 청소년 자살 현황 및 위험요인
연구방법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 파악을 위하여 개인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자료인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자살시도와 위험요인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자살시도에 대한 비율을 특성별(시도, 성별, 연령대)로 비교하고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였다. 사회‧환경적인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자료에 대해서는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둘째, 지역의 사회‧환경적인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자료 선정을 위해 선행 문헌고찰에서 선정한 요인 중 활용 가능한 자료를 확보하였다. 확보된 자료를 활용하여 지역의 사회‧환경/개인적 위험요인과 각 지역의 자살률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지역 간 공간정보를 활용한 다변량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분석에 포함한 계수형 자료(count data)는 모집단수를 이용하여 십만 명 기준으로 변환하였다. 베이지안 공간모형(Bayesian spatial model) 중의 하나인 조건부 자기회귀모형(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CAR)을 이용하여 지역 간의 공간정보를 활용한 청소년 자살의 시군구별 표준화 사망비(Standardized Mortality Rate, SMR)에 대한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자살시도에 대한 개인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0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자료 분석결과, 여성, 만12~14세,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 이하로 나쁘다고 평가할수록, 주관적 행복도가 보통으로 낮다고 평가할수록, 중등도 신체활동을 2 ~ 5일 이상할수록, 체중조절 노력을 하지 않을수록, 스트레스를 많이 느낄수록, 음주경험, 흡연 경험, 성경험이 있을수록,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을수록, 습관적 약물 사용 경험이 있을수록, 인터넷 중독 정도가 때때로 그렇다 이상일수록, 가족여행 횟수가 1~3회 이상일수록, 아버지와 함께 살지 않을 경우, 우울감이 있을 경우 자살 시도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중에 스트레스 종류에 따라 자살시도에 미치는 위험을 비교해보기 위해 스트레스의 원인 중 ‘성적’을 기준범주로 분석해 본 결과, 부모님과의 갈등, 가정형편, 선생님과의 갈등, 교우관계, 건강문제, 외모로 인한 스트레스가 모두 성적보다 더 큰 위험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 가장 큰 스트레스는 가장형편이었다.
청소년 자살의 지역의 사회‧환경적인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annual report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신과 병원수, 정신과 의사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파악한 청소년 우울증 환자수, 통계청 인구총조사 자료에서 제공하고 있는 실업률, 빈곤, 주거, 노동, 편부모 가구 비율, 경찰청 통계연보를 이용한 소년범 현황, 지역별 총범죄 발생건수 등 현재 국내에서 가용할 수 있는 2차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때 자살자수는 2001-2010년 통계청 사망원인 자료로 파악하였다. 수집된 각 2차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자살률과 지역의 사회‧환경/개인적 위험요인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역의 사회‧환경/개인적 위험요인 중 지역별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수가 많을수록, 실업률(15세 이상 중 일하지 않는 비율)이 낮을수록, 만12~18세 우울증치료환자수가 많을수록 자살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망비를 기준으로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을 선정하여 상·하위 지역의 평균 차이 비교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편부모가구 비율, 초등/미취학 가구주,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수, 연령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특이적 요인을 이용하여 독립 여부를 검정한 결과, 어머니 학력(중졸 이하/고졸 이상), 주관적 건강인지(자신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지가 보통 혹은 건강한 편/건강하지 못한 편, 매우 건강하지 못한 편), 가족과 여행횟수(가족과의 여행횟수가 없음/1회 이상)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 청소년 자살에 언론 보도량이 미치는 영향
연구방법
자살관련 국내 언론 보도량이 12~25세 청소년 자살자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2001~2010년 월별 자살관련 키워드에 해당하는 국내 언론 보도량을 조사하고, 이를 시계열 회귀분석인 전이함수모형을 적용하였다. 성별(전체, 남성, 여성), 연령(만 12~18세, 만 19~25세, 만 12~25세)으로 이루어진 9개의 각 자료집합별로 자살관련 기사 수, 스타자살관련 기사 수, 학생자살관련 기사 수 이 세 가지의 입력 변수와 출력변수(실제 청소년 자살 수)를 각각 모형 화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만 12~25세 청소년 자살자수에 대한 언론보도건수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당해 월과 한 달 전의 언론보도건수는 만 12~25세 청소년 자살자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만 12~18세, 만 19~25세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언론보도건수는 만 12~18세 청소년 자살에는 영향이 없었지만 만 19~25세 청소년 자살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스타자살관련 언론보도건수가 만 19~25세의 청소년의 성별을 불문하고 모두 유의했다.
□ 결론 및 정책제안
본 연구에서는 2012년 현재 가용할 수 있는 자료의 한계로 인한 해석의 한계가 있지만, 다음 결론 및 제언을 도출할 수 있다.
국내 문헌고찰 결과 여러 요인들을 조작적으로 범주화한 한계가 있지만, 청소년 자살시도 및 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정신질환을 적극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있다.
자살예방 프로그램 구축 시 본 연구에서 이차자료원 분석결과 파악한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을 고려한 대책마련과 자살방법의 연령대별 성향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지역별 자살예방 대책을 수립할 때, 본 연구에서 파악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수, 실업률(15세 이상 중 일하지 않는 비율), 만12~18세 우울증치료환자수 위험요인의 지역별 차이를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언론보도시 연령대별 키워드별 영향을 고려하여 보도에 신중을 기할 필요성이 있다.
□ Introduction
Suicide is becoming an issue of the Korean society that needs urgent attention recently. The suicide rate has rapidly increased from 9.1 per 100,000 people in 1985 and 10.6 per 100,000 people in 2000 to 31.7 per 100,000 people in 2011. As for the age group, the number one cause of mortality in teens, twenties and thirties is suicide. While the total number of deaths in teenage adolescents is decreasing since 2000, the suicide rate is showing a tendency to increase in percentage.
Although there is an opinion that adolescent suicide is a complex result arising from various causes like school and home in a broad sense, and sleeping hours and psychiatric disroders in a narrow point of view, but a wholistic and systemic research on these various risk factors is insufficient.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the basis of policy to prevent suicide through researching the risk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in Korea.
□ Risk factors reported in Korean studies
Study method
In previous researches in Korea, the factors reported as risk factors that affect suicide in adolescents were investigated and categorized to be compared with reports from outside Korea, and the method of systemic literature review was applied to find out what factors have the major effects. The search DB used were the domestic core DB, which are KMBase, NDSL, KoreaMed and RISS, and the search date was August 13th, 2012. The keyword was limited to 'adolescent suicide‘.
Study result
A total of 357 studies (KMBase 63 studies, NDSL 67 studies, KoreaMed 50 studies and RISS 177 studies) were searched. After reviewing the titles, 257 studies were first selected whose full-texts were then reviewed second to choose 75 studies that used suicide attempt and suicidal idea as outcomes.
The variable lists included in the researches and significant variables among them were separately organized by dividing into the suicide idea group and the suicide attempt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ultimately selected studies, and 6 studies had suicide idea as the outcome, and 69 studies had suicide attempt as the outcome. For any one reference that reported several outcomes, each outcome was included as one case.
Established reports that categorized the risk factors that affect adolescent suicide include the adolescent suicide risk factor research by Hawton et al. (2012) which proposed sociodemographic and educational factors, negative life incident and family troubles of one individual, psychiatric disorders and psychological factors, description of suicidal behavior and reports of suicide in various media. Similar categorical classification could be made from the research on the domestic studies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 risk factors of the suicide attempt group were high in psychiatric disorders, sexual experience and health behavior in descending order. The risk factors of the suicide idea group were other mental illnesses, psychiatric disorders, social factors and sexual experience in descending order, showing a similar pattern to that of the suicide attempt group.
□ The current status and risk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Study method
In order to find out the risk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KYRBW) that can reflect individual properties were used to discover the relation between suicide attempt and risk factors. The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 were studied by comparing the rate of suicide attempt by each property (attempt, sex, age group) and using a model of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he same method was used for data that can reflect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econd, usable data among factors selected from previous literature review were secured to select data that can reflect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region. Multivariat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ter-regional spatial information in order to utilize the secured data and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social, environmental/individual risk factors of the region and the suicide rate of each region. The count data that includes analysis were converted to standardize per-100,000 people using the number of population. Conditional Autoregressive Model (CAR), one of the Bayesian spatial models, was used to build the model for the Standardized Mortality Rate (SMR) of adolescent suicide in each city using the spatial information between regions.
Study result
The data of 2010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ere analyzed to find out each individual's risk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isk of suicide attempt was greater for women aged 12~14 years old with lower academic achievements, lower evaluation (below average) of subjective state of health, lower evaluation (average) of subjective happiness, moderate physical activities for 2~5 days or more, less try for weight control, more stress, more experience of alcohol, smoking and sex, experience of sexual assault, habitual drug abuse, feeling of addiction to internet more or so occasionally, the number of family trip 1~3 trips or more, environment of not living with the father, and depression. Also, 'academic grades' among the causes of stress were used as the criterion for analysis in order to compare the risk of suicide attempt according to the type of stress, and the results showed that conflict with the parents, family circumstances, conflict with the teacher, relationship with friends, health problems and stress of appearance/look all had greater risk than academic grades. The biggest stress among these factors was family circumstances.
Secondary data currently available domestically were gathered to investigate the regional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 Such data include the number of psychiatric hospitals and psychiatrist from the annual report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number of adolescent depression from the bills to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unemployment rate poverty, residence, labor and rate of single-parent family provided by the population census report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urrent status of young offenders and the total crime incidence for each region using the statistical yearbook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number of suicide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mortality cause data of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rom 2001 to 2010. The multivariate spati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llected secondary data to find out the suicide rate of each region and the relation with the local social and environmental/individual risk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icid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mor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lower unemployment rate (the rate of unemployment in ages 15 years old or older) and more patients treated for depression in the age range of 12~18 years old.
Also, higher area and lower area based on the mortality rate were selected, and a comparative assay for the mean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areas wa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rate of single-parent family, householder with elementary school education or no education, number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the age. Independence was reviewed for adolescent-specific factors, and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ce with the academic background of mother (middle school education or less/high school education or more), recognition of subjective health (recognition of one's health state as average or healthy/unhealthy, very unhealthy), and the number of family trip (none/one or more).
□ Effects of the amount of press reports on adolescent suicide
Study method
In order to verify whether the amount of suicide-related press release in Korea affects the number of adolescent suicides between the age of 12 and 25 years old, the amount of press release in Korea corresponding to monthly suicide-related keywords from 2001 to 2010 was investigated and the transfer function model, which is a time-series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For each of 9 data groups composed of sex (whole, male, female) and age (age of 12~18 years old, 19~25 years old and 12~25 years old), three input variables of the number of suicide-related articles, the number of celebrity suicide-related articles and the number of student-related articles and the output variable (the number of actual adolescent suicide) were each made into a model and analyzed.
Study result
The results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press release on the number of suicides of adolescents aged 12~25 years old revealed that the number of press release in the relevant month and the previous month affected the number of suicides of adolescents aged 12~25 years old. The age group was then divided into the ages of 12~18 years old and 19~25 years old to find out the effect for each age group, and the number of press release seemed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uicides of adolescents aged 19~25 years old but no effect on those of 12~18 years ol. The number of celebrity-related suicides, especially,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adolescents of age 19~25 years old regardless of their sex.
□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There is a limit of interpretation due to limitation of currently available data in 2012, but the following conclusion and policy recommendations can be deduced.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in Korea has limitation of operant categorization of various factors, but psychiatric disorders of adolescents need to be treated aggressively in order to prevent suicide attempt and idea of adolescents.
Measures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 investigated from analyzing secondary resources and the inclination of suicide method for each age group need to be reflected when designing a suicide prevention program.
The number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unemployment rate (the rate of unemployment in ages 15 years old or older) and inter-regional difference of risk factors of patients aged 12~18 years old treated for depression need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measures to prevent suicide in each area. Therefore, there is need for prudent press release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for each age group and keyword.
1. 서론
1.1 연구 배경
1.2 연구 필요성
1.3 연구 목적
1.4 연구의 틀
2. 선행연구 및 현황
2.1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
2.2 베이지안 방법론
2.3 언론보도와 자살
3. 연구 방법
3.1. 청소년 자살 위험요인의 국내문헌고찰
3.2.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의 2차 자료원 분석
3.3 청소년 자살에 대한 언론보도의 영향
4. 연구 결과
4.1. 청소년 자살 위험요인의 국내문헌고찰
4.2. 청소년 자살의 위험요인의 2차 자료원 분석
4.3 청소년 자살에 대한 언론보도의 영향
5. 고찰
5.1 연구결과 요약 및 고찰
5.2 연구의 한계 및 후속연구 제안
6. 결론 및 정책제언
7. 참고문헌
8. 부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