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진행중

폐색전증에서 D-이합체 검사

발행일 2024.07.31
연구책임자 유근주
조회수 38
원문다운로드
해당 게시물의 목차, 국문요약, 영문요약을 제공합니다.

평가배경 

D-이합체 검사는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등 혈전 관련 질환 의심 환자 및 파종성혈관내응고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D-dimer를 정성・반정량(역가)・정량으로 측정하여 해당 질환을 진단하고 추적 관찰하기 위한 검사이다. 신의료기술평가제도 도입 이전 급여로 등재되었고, 2021년 D-이합체 간이검사가 추가되었다. 내부 모니터링을 통해 발굴되었으며, 2023년 제6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3.6.2.)에서 의료기술재평가가 필요한 안건으로 심의를 받았다. 

동 평가는 폐색전증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폐색전증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D-dimer 검사의 임상적 안전성 및 효과성에 대한 의과학적 근거평가를 통해 보건의료자원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고자 한다. 


평가방법

폐색전증에서 D-이합체 검사의 안전성 및 효과성을 재평가하기 위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방법은 평가목적을 고려하여 “폐색전증에서 D-이합체 검사에 대한 안전성 및 효과성 평가 소위원회” 논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소위원회 구성은 심장내과 1인, 호흡기내과 1인, 혈관외과 1인, 심장혈관흉부외과 1인, 진단검사의학과 1인, 근거기반의학 1인 총 6인으로 구성하였다. 

핵심질문은 “D-dimer 검사는 폐색전증 의심환자의 폐색전증 진단에 있어 임상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가?”이었고, 안전성은 검사 관련 이상반응을, 효과성은 진단정확성을 지표로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핵심질문을 토대로 국외 3개,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으며, 문헌 선정과정은 문헌선택 및 배제기준에 따라 2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검토자간 합의를 통해 최종 논문을 결정하였다. 문헌의 비뚤림 위험 평가는 Quality assessment of diagnostic accuracy studies-2 (QUADAS-2)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 선택된 문헌을 대상으로 2명의 검토자가 독립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의견이 불일치한 경우 검토자간 합의를 통해 일치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모든 자료는 연구단위로 추출하였다. 진단정확성은 STATA/MP를 이용하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가결과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총 140편(진단법평가연구 134편, 환자-대조군연구 6편)이 선정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원인을 설명할 수 없는 흉통, 호흡곤란 등 증상이 갑자기 발생하거나 악화된 폐색전증 의심환자 총 81,686명(25~6,655명)이었다. 이 중 참고표준검사를 통해 폐색전증을 진단받은 환자는 11,492명(4~455명)으로 폐색전증 유병률(Prevalence)은 14.1%였다. 특정 질환군을 대상으로 한 문헌은 18편으로 임신 또는 출산 후 6주 이내 여성 5편, 암 환자 5편, 만성폐쇄성폐질환 급성악화 (exacerbation)된 환자 2편, 안정형 협심증 1편, 급성 심근경색 1편, 폐렴 1편, 결핵성 흉막삼출 환자 1편, 중환자실 입원환자 1편, 정형외과 수술환자 1편이었다. 비뚤림위험 평가결과, 환자선택 영역의 비뚤림위험 및 적용성 우려에서 ‘높음’으로 가장 많이 평가되었다. 


안전성 

안전성은 검사 관련 이상반응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이를 보고한 문헌은 없었다. 


효과성 

전체 환자에 대한 D-dimer 검사 진단정확성는 총 122편에서 보고하였고, 정성검사 10편(6,724명), 반정량검사 12편(2,361명), 정량검사 107편(69,621명), 간이검사 1편(40명)이었다. D-dimer 정성검사(10편, 6,724명)는 CTPA가 참고표준검사인 1편(Subedi et al., 2009)을 제외한 9편에서 민감도 0.85-0.91, 특이도 0.55-0.73, 음성예측도 0.97-0.99였다. D-dimer 반정량검사(12편, 2,361명)는 참고표준검사에 따라 통합민감도 0.84-0.95, 통합특이도 0.40-0.49, 음성예측도 0.92-0.95였다. D-dimer 정량검사(107편, 69,621명)는 참고표준검사에 따라 통합민감도 0.97-1.00, 통합특이도 0.28-0.54, 음성예측도 0.96-1.00이었다. D-dimer 간이검사(1편, 40명)는 CTPA, V/Q scan, 하지 도플러 초음파를 참고표준검사로 이용하였고, 민감도 1.00, 특이도 0.37, 음성예측도 1.00이었다. Subedi 등(2009)에서 CTPA가 참고표준검사인 경우 민감도 0.5, 특이도 0.51, 음성예측도 0.75였다. 문헌에서 연구대상자 특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연구대상자 수가 적고 검사 전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지 않아 폐색전증이 아닌 다른 질환을 가진 환자가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었다.

암 환자에 대한 D-dimer 검사 진단정확성은 7편(1,871명)에서 보고하였다. Kanehira 등(2021)에서 결장직장암으로 암종을 특정하였고 나머지 6편에서는 암종, 중증도를 구분하지 않았다. 모두 정량검사였고, 통합민감도 0.98, 통합특이도 0.33, 음성예측도 0.99였다. 

임신 또는 출산 후 6주 이내 산욕기 여성을 대상으로 한 문헌은 5편(439명)에서 참고표준검사에 따라 민감도 0.74-1.00, 특이도 0.14-0.58, 음성예측도 0.69-1.00이었다.


결론 및 제언

소위원회는 현재 문헌에 근거하여 폐색전증에서 D-dimer 검사의 안전성 및 효과성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D-dimer 검사는 폐색전증 진단에 있어 체외검사로 검사 수행에 따른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고, 정성검사, 반정량검사, 정량검사, 간이검사에서 모두 통합민감도와 음성예측도가 높아 폐색전증 진단을 위해 영상검사가 필요한 환자를 선별하는 검사로 효과적이고, 통합특이도가 낮아 폐색전증을 배제(rule out)하는 검사로써 유용한 기술로 판단하였다.

D-dimer 검사의 ‘사용’과 관련해서 ① 환자병력이나 임상증상 외 객관적인 자료로 D-dimer 검사가 필요한 점, ② 혈전이 작을 경우 영상검사로 발견하지 못할 수 있어 영상검사 결과만으로 폐색전증을 배제하기 어려운 점, ③ 영상검사 장비가 없는 병원에서 색전증으로 전원 여부를 판단할 경우, ④ 임상의 입장에서 폐색전증 진단을 놓쳤을 때 책임 소재로 여러 검사를 종합하여 폐색전증을 배제해야 하는 점 등의 임상상황으로 인해 국외 가이드라인과 달리 폐색전증 가능성이 높은 환자에서 영상검사 전 D-dimer 검사를 시행한다는 의견이었다. 

국내 임상현장에서는 폐색전증 또는 심부정맥혈전증을 의심할 만한 요인이 없는 경우에도 무분별하게 D-dimer를 검사하고 D-dimer 가양성 결과가 불필요한 영상검사로 이어져 고가의 의료비 지출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소위원회에서는 선택문헌의 연구대상자 특성을 검토하여 D-dimer 검사가 필요한 적응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폐색전증(의심) 환자수가 적고 다수의 대규모 연구결과가 없어 D-dimer 검사의 세부 적응증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다만, 현재 문헌수준에서 D-dimer 검사를 적용한 환자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임상의에게 폐색전증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향후 가이드라인 개발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하는 의의가 있다고 제언하였다.  

2024년 제3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4.3.8.)에서는 소위원회 검토 결과에 근거하여 의료기술재평가사업 관리지침 제4조제10항에 의거 “폐색전증에서 D-이합체 검사”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심의하였다.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임상적 안전성과 효과성의 근거 및 그 외 평가항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D-이합체 검사는 음성예측도가 높아 폐색전증 배제 목적으로 유용하나 폐색전증 진단이 어렵고, 국내 임상상황에서 검사 적응증을 한정하기에 현재 문헌적 근거는 부족하므로 폐색전증 의심환자를 대상으로 폐색전증 진단 시 선별검사로서 D-이합체 검사의 사용을 ‘조건부 권고함’으로 심의하였다(권고등급: 조건부 권고함).


주요어

폐색전증, 선별검사, 배제, D-이합체  

Pulmonary embolism, Screening test, Rule out, D-dimer


※ 최종 보고서는 2024년 7월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될 예정임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알츠하이머병에서 아포지단백E 검사
다음글 인슐린양 성장인자 결합단백질 3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