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제목 |
완료
유방암에서의 NK 세포 활성도 검사 [정밀면역검사] |
|
---|---|---|
발행일 | 2021.02.28 | |
연구책임자 | 이진이 | |
조회수 | 739 | |
원문다운로드 |
유방암에서의 NK 세포 활성도 검사[정밀면역검사].pdf [다운로드수 : 1526]
바로보기 |
평가 배경 NK 세포 활성도 검사[정밀면역검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혈액을 NK 세포 활성물질이 첨가된 튜브에서 배양한 후 효소면역분석법으로 인터페론 감마(IFN-γ)를 측정하여 환자의 상태 확인 및 치료경과 모니터링을 위해 수행되는 검사이다. 동 기술은 2014년 제4차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2014.04.25.)에서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기술로 심의 및 신의료기술평가 결과 고시(제2014-89호)되었고, 선별급여로 등재(보건복지부 고시 제2016-104호)되었으며, 이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동 기술에 대한 급여적용 타당성 판단 등 의사결정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도출하기 위해 재평가를 본원에 의뢰하였다. 이에 따라 동 기술에 대해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위원회 운영 총 11인으로 구성된 소위원회는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약 3개월간 총 3회의 소위원회 회의를 진행하였다. 2020년 9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0.09.11.)에서는 동 기술에 대한 평가결과를 1차로 심의하여 다음 차수에 권고등급까지 심의하기로 결정하였고, 10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0.10.16.)에서는 본 안건에 대한 평가결과 및 권고등급에 대한 최종 심의가 이루어졌다. 평가방법 본 연구에서는 유방암 환자에 대하여 선별급여로 등재(2016.07.01. 적용)된 「NK 세포 활성도 검사[정밀면역검사]」의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평가 결과 평가대상 문헌 선정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총 3,898편(국외 3,844편, 국내 54편)이 검색되었고, 문헌 검토를 통해 최종 0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에 대한 NK 세포 활성도 검사[정밀면역검사] 수행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수행 결과, 최종 선택된 문헌이 없어 해당 기술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할 수 없었다. NK 세포 활성도 검사[정밀면역검사]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상태확인 및 치료경과 모니터링을 위해 수행되는 검사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기에는 축적된 문헌적 근거가 부족하여 동 기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할 수 없는 기술로 판단하였다. 이에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는 의료기술재평가사업 관리지침 제4조제10항에 의거 NK 세포 활성도 검사[정밀면역검사]를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상태확인 및 치료경과 모니터링의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권고하지 않음(권고등급 II)으로 결정하였다(2020.10.16.). 주요어 NK 세포, 인터페론 감마, 유방암 NK cell, Interferon gamma, Breast cancer |
보도자료 |
|
---|---|
근거와 가치 |
|
논문 |
|
관련자료 |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
이전글 | 위암에서의 NK 세포 활성도 검사 [정밀면역검사] |
---|---|
다음글 | 전립선암에서의 NK 세포 활성도 검사 [정밀면역검사] |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