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의료기술재평가보고서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의료기술의 임상적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을 최신 근거에 기반하여 평가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척수손상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

발행일 2021.12.31
연구책임자 김진희
조회수 1464
원문다운로드 [최종보고서]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pdf [다운로드수 : 852] 바로보기
해당 게시물의 목차, 국문요약, 영문요약을 제공합니다.

평가 배경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Robot-Assisted gait training)는 건강보험에 등재 기술인 ‘보행치료(사130, 수가코드MM302)’로 분류되어 의료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가 고식적 재활치료에 비해 치료효과 개선 등을 근거로 행위 재분류 및 하지재활로봇과 관련한 건강보험 수가인상에 대한 제조업체 및 의료계의 요구가 있다. 따라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기존 고식적 재활치료 대비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의 임상적 유용성의 개선여부 및 경제적 가치(비용효과성)가 있는지 여부에 대한 재평가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 의뢰하여(의료기술등재부-1378, 2020.06.17), 2020년 제7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0.7.10.)에서 재평가 계획서 및 소위원회 구성안에 대해 심의를 받아 재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평가의 목적은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 치료의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 등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의료기술의 적정사용 등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것이다.


평가 방법

뇌졸중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에 대한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모든 평가방법은 평가목적을 고려하여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 재평가 소위원회(이하 ‘소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 확정하였다. 소위원회 구성은 재활의학과 3인, 신경과 2인, 정형외과 1인, 신경외과 1인, 소아청소년과 1인, 근거기반의학 2인의 전문가 10인으로 구성하였다. 

평가의 핵심질문은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는 고식적 재활치료에 비해 안전하고 효과적인가?”이었고, 안전성은 보고된 이상반응을 지표로 하였고, 유효성은 보행기능, 근력, 기능수행능력, 경직, 균형, 삶의 질 등을 지표로 평가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은 핵심질문을 토대로 국외 3개,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였으며, 문헌 선정과정은 문헌선택 및 배제기준에 따라 2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고, 의견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평가자 간 합의를 통해 최종 논문을 결정하였다. 문헌의 비뚤림위험 평가는 Cochrane의 Risk of Bia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최종 선택된 문헌을 대상으로 2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의견이 불일치한 경우 평가자 간 합의를 통해 일치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모든 자료는 연구단위로 추출하였다. 본 평가에서 수행한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는 GRADE 방법을 이용하여 근거 수준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토대로 권고등급을 결정하였다. 결론 도출은 하지재활로봇 중재군 전체에 대해 분석결과 및 결론을 우선적으로 제시하고, 임상적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한 결론은 합의를 통해서 결정하였다.


평가 결과 

본 평가에 최종 선택된 문헌은 총 12편(11개 연구)이었고, 모두 무작위배정임상시험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 이하 RCT)였다. 총 연구 대상자는 395명이었고, 하지재활로봇 단독 중재군과 고식적 재활치료를 비교한 연구는 5편이였고, 하지재활로봇 및 고식적 재활치료를 병용한 중재군과 고식적 재활치료를 비교한 연구는 7편이였다. 비뚤림위험 수준은 불충분한 결과자료와 선택적 결과보고에서 ‘높음’이 27%로 나타났다.

안전성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재활치료와 관련된 이상반응을 보고한 연구는 2편(Chang, 2018; Piira, 2019)이었다. Chang (2018)에서는 중재군 1명에서 발목의 쓸림(ankle soreness)가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고, Piira (2019)에서는 중재군에서 작은 다리 찰과상(small leg abrasion)과 같은 사소한 문제 외에는 다른 이상반응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유효성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재활치료와 관련된 유효성은 보행기능, 근력, 기능수행능력, 경직, 균형, 삶의 질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보행 관련 지표 중 보행거리를 보고한 결과를 하지재활로봇 중재군과 고식적 재활치료를 비교한 메타분석 한 결과, 중재직후 시점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5편, SMD -0.12, 95% CI -0.74, 0.50, I2=56%), 보행속도에서도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5편, SMD -0.04, 95% CI –0.84, 0.77, I2=73%). 보폭을 보고한 결과에서도 하지재활로봇을  중재군과 고식적 재활치료군의 중재직후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2편, WMD –7.03cm, 95% CI –18.63, 4.58, I2=57%). 기타 보행지표인 WISCI 결과에서도 중재직후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2편, WMD 0.94점, 95% CI –1.02, 2.91, I2=0%).

근력 관련 지표 결과에서 하지재활로봇 중재군과 고식적 재활치료군을 비교한 메타분석 결과에서는 중재직후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4편, WMD 0.56점, 95%CI –3.97, 5.10, I2=44%), 기능수행능력 관련 결과를 메타분석한 결과에서도, 중재직후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3편, SMD 0.29, 95%CI –0.12, 0.71, I2=8%). 

경직 관련 지표는 2편에서 보고하였으나, 합성할 수 있는 결과가 없었고, 균형 관련 지표를 보고한  문헌 3편에서 BBS와 TUG는 결과지표의 해석의 방향성이 달라 합성할 수 없었다. 또한 삶의 질 지표에서는  SF-36을 신체영역과 정신영역으로 구분한 결과가 1편만 보고되어 합성 할 수 없었다. 


결론 및 제언

체계적 문헌고찰 결과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 중재군 전체와 고식적 재활치료의 안전성은 2편의 연구에서 경미한 수준으로 보고되어 이는 안전성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재활치료는 안전한 기술로 평가하였다.

하지재활로봇 중재군과 고식적 재활치료를 비교하여 보고된 유효성 결과인 보행기능, 근력, 기능수행능력, 경직, 균형, 삶의 질 등 주요 지표 결과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소위원회에서는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는 안전한 기술이며,  유효성은 고식적 재활치료와 유사한 기술로 평가하였다(근거수준 Very Low). 

2021년 제8차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2021.08.13.)에서는 소위원회 검토 결과에 근거하여 의료기술재평가사업 관리지침 제4조 제10항에 의거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심의하였다. 

의료기술재평가위원회에서는 척수손상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는 안전한 기술이며, 보행기능, 근력, 기능수행능력, 경직, 균형, 삶의 질 등 유효성 결과지표에서 기존의 고식적 재활치료와 효과차이가 없다는 것을 근거로 조건부 권고로 심의하였다(권고등급: 조건부 권고함).


주요어

척수손상, 재활, 하지재활로봇

Spinal cord injury, Rehabilitation, Robot-assisted gaited training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다발성경화증 환자에서 하지재활로봇을 이용한 보행치료
다음글 대뇌운동피질자극술 [체내삽입형 신경자극기 이용]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