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주 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한정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보건의료정책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연구보고서의 제목, 발행일, 연구방법, 연구책임자의 정보 및 원문다운로드를 제공합니다.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제목 완료

구강내장치를 이용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치료의 안전성, 유효성 평가 및 치료 가이드라인 개발

발행일 2021.08.31
연구책임자 정진우, 성상진, 조송희
조회수 3074
원문다운로드

▢ 연구배경

 폐쇄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반복적인 부분적 또는 완전한 기도 폐쇄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이다. 따라서 OSA 환자는 수면 중 저산소 혈증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는 데 이것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만성질환의 발병과 악화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여 전신 건강에 영향을 미치므로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

OSA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양압기 또는 구강내장치를 이용하는 비수술적 방법과 수술적 방법이 있다. 이 중 구강내장치 치료는 수면 중 기도를 확보하여 OSA를 치료하는 방법으로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하악을 앞으로 내밀어 착용하는 하악전방위치 장치(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MAD) 형태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구강내장치는 다른 치료 방법과 비교시 편리하여 순응도가 높은 편이며, 적합한 환자에게 적용했을 때 양압기 치료에 준하는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적응증에 해당하지 않는 환자에게 적용하거나 잘못된 방법으로 적용하는 경우에는 유효성 및 안전성이 감소할 수 있으며, 관련 부작용이 적절한 시기에 관리되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더욱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구강내 치료를 위해서는 구강내장치 치료 경험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효과적인 구강내장치 치료에 대한 근거를 확립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진이 표준화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이 필요하다.


▢ 연구 목적

 구강내장치 치료를 받은 OSA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임상 검사, 방사선학적 검사 및 수면다원검사를 시행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고 OSA 환자 치료에 대한 구강내장치 치료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한다.


▢ 연구 방법

 2000년 1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연세대학교치과병원, 서울아산병원, 단국대학교치과병원 및 경북대학교치과병원에 수면무호흡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OSA를 진단받고 구강내장치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효과, 치료 반응자의 특성, 치료 만족도 및 부작용을 평가하기 위하여 설문조사 및 임상검사를 수행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구강내장치 치료의 주관적 만족도, 순응도 및 부작용 등을 평가하였으며, 수면다원검사, 측모두부계측 방사선사진 촬영, 턱관절장애 평가 및 구강검진을 포함하는 임상검사를 통하여는 구강내장치 치료 전·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때, 임상검사는 추가 검사 시행에 동의한 대상자에 한하여 진행하였으며, 추가 내원이 어려운 환자 중 치료 전·후 임상결과 기록이 있는 경우, 후향적 의무기록조사를 통하여 임상검사 결과를 기록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 시 함께 포함하여 진행하였다.

치료 반응자는 무호흡-저호흡 지수(apnea-hypopnea index, 이하 AHI)가 치료 후 10미만으로 감소하였거나 AHI가 치료전에 비하여 50% 이상 감소한 대상자로 정의 하였으며, 치료 반응자와 비반응자의 임상적인 특징, 수면다원검사 및 측모두부계측 분석 결과를 비교 평가하여 치료 반응자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과 문헌 고찰을 고려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에 영향을 미친다고 평가된 변수를 이용하여 Logistic regression과 Multiple linear regression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의 예측인자를 확인하였다. 

설문조사 분석은 현재 장치 착용자와 미착용자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부작용과 관련된 항목의 분석을 통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의 안전성과 사후 관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이후 본 연구의 결과와 문헌 고찰 내용을 근거로 하고, 국내 보건의료시스템의 특성을 고려하여 연구 참여자와 전문가자문위원의 합의를 통하여 구강내장치 치료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 연구결과  

1. 구강내장치 치료의 효과 (유효성)

가. 유효성은 AHI<10에서 42.0%, AHI 50% 감소에서 55.0%로 나타났다.

나. OSA의 중증도에 따른 유효성의 평가는 성공기준 AHI<10에서 경증 78.1%, 중등증 58.1%, 중증 17.6%였으며 성공기준 AHI 50%에서 경증 43.8%, 중등증 67.7%, 중증 54.4%로 관찰되었다. 

다. OSA의 표현형(phenotype)에 따른 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positional OSA에서 non-positional OSA보다 더 높은 유효성을 보였다.

1. 구강내장치 치료의 예측인자 분석

라. 최저 산소포화도와 superior oral airway space (SOAS)가 구강내장치 치료 예측인자로 관찰되었다.

2. 구강내장치 치료의 순응도

구강내장치의 평균 착용 시간은 4.8일/주, 6.3시간/일로 관찰되었는데, 현재 착용자의 경우에는 5.5일/주, 6.6시간/일, 현재 미착용자의 경우에는 3.9일/주, 5.8시간/일 (착용 당시 기준)으로 착용자의 평균 착용 시간이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구강내장치 치료의 부작용 (안전성)

마. 설문조사에 따르면 대상자의 41.8%가 구강내장치 치료 중 1회 이상의 부작용을 경험했다고 보고하였으며, 주요 부작용으로는 턱관절 통증, 치아 통증 및 교합변화였다.

가. 치료 전·후 측모두부계측 분석에서 2년 이상의 착용자의 palatal plane to mandibular plane angle, Frankfort-mandibular plane angle (FMA), U1 to Frankfort horizontal plane (U1 to FH)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찰되었으며, 착용 기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그룹에서 수평 및 수직 피개량 감소가 관찰되었다. 


▢ 결론 및 정책적 제언

 구강내장치 치료를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시행하기 위해서는 치료 반응이 높은 대상자를 선정하여 치료를 시행하고 부작용의 예방 및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적합한 대상자를 선정하고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AHI 뿐만 아니라 많은 임상 기록과 수면다원검사 결과 등 다양한 항목의 검토가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은 치과 수면의학 전문의가 아닌 일반 의료인에게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 따라서 문진부터 치료, 향후 추적관리까지의 진단 및 치료 전 과정에 대한 표준화된 임상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면 보다 많은 의료인이 양질의 진료를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와 다양한 임상기록을 통하여 구강내장치의 유효성, 치료 반응자의 임상적 특징, 순응도 및 부작용에 관한 내용을 검토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구강내장치 치료의 예측인자를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문헌 고찰 및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OSA 환자의 구강내장치 치료에 대한 임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단기적인 효과를 확인하기는 어려우나, 중․장기적으로 OSA 환자에 대한 표준화된 양질의 치료가 제공되어 질환의 악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과 잘못된 치료로 인한 보건·의료비용 감소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또한 현재의 AHI 결과에 따른 획일화된 치료방법의 결정과 보험적용에서 벗어나 다양한 평가요인과 치료방법에 대한 보험적용 및 이와 관련한 정책 결정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임상 가이드라인의 의미있는 활용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최신 지견 추가하고 보건의료 정책 변화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임상 가이드라인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코골이, 폐쇄성 수면무호흡, 구강내장치, 하악전방위치 장치, 유효성, 임상 가이드라인 

참고자료

해당 게시물의 이해를 돕는 참고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보도자료
근거와 가치
논문
관련자료

같은 주제 자료

이 내용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자료입니다.

같은 주제 자료 입니다.
번호 보고서명 연구책임자 발행일 첨부파일
등록된 게시물이 없습니다.

저작권 허용범위

해당 게시물의 저작권 허용범위, 보도인용 문의 연락처를 제공합니다.

CCL 저작권 허용범위

· 저작자표시
· 비영리
· 변경금지 4.0 국제

공공누리 저작권 허용범위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연구보고서 보도인용 안내

연구보고서의 보도나 인용시 아래 연락처로 확인하세요. - 연구보고서 보도 관련 문의: 02-2174-2748 (대외협력홍보팀) - 연구보고서 인용 관련 문의: 02-2174-2787 (경영혁신추진단)
이전글 치료연관 골수계 종양의 발생 현황과 고위험군 선별을 위한 위험요인 분석
다음글 미용·건강증진 목적 주사제 성분의 안전성 및 유효성(2)

페이지
만족도 조사

현재 페이지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십니까?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