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 배경
2000년 이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서는 환자안전을 가장 중요한 보건문제로 강조하면서 국가별 환자안전 시스템 구축 및 활동을 강화하도록 권고하였다. 미국의 국립질향상포럼(National Quality Forum)에서는 국가적 합의를 통해 2004년에 낙상, 요로감염, 욕창 등을 포함한 병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15개의 간호민감결과변수(nursing sensitive outcomes, NSO)를 발표하였고, 이를 연구와 정책의 우선순위로 삼을 것을 권고하였으며 관련 연구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에서도 타당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간호민감지표 및 변수에 대한 합의가 부족하며 관련 연구도 체계적으로 이루어진 바가 없다. 연구원은 다양한 근거창출 및 근거합성 연구활동은 대부분 의학, 보건정책 등에 국한되어 왔으나 보건의료서비스의 안전 강화를 위한 정보제공의 필요성은 최근들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며 간호중재 또한 보건의료의 질향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원의 보다 발전적인 연구활동 및 성과의 제고를 위하여 국내 환자안전 증진을 위한 간호분야에서의 간호중재 우선순위 연구주제를 도출하고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를 제시하여 보건의료서비스 질 및 안전 강화를 위한 연구원과 간호분야와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보건의료서비스 및 안전 강화를 위한 간호돌봄 중재(Nursing-care intervention) 관련 주제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고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를 제시하여 과학적 근거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협력적 발전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환자안전관련 간호돌봄 중재 관련 연구주제 우선순위를 도출한다. 둘째, 국내 간호분야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방법론적 제언을 제시한다. 셋째,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 및 관련 변수를 제시한다. 넷째,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간호돌봄 중재 수행 관련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을 조사한다. 다섯째, 연구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여 간호중재 수행관련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료기술평가 관점의 협력적 발전방안을 모색한다.
▢ 연구 방법
환자안전 향상를 위한 간호돌봄 중재 우선순위 연구항목을 선정하기 위하여 관련 간호중재 예비항목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주요국의 환자안전 유관기관들에서의 연구항목 중 간호중재 관련 항목을 수집하였으며 환자안전 관련 간호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문헌을 검토하였고, 실무현장의 전문가 의견을 조사하였다. 3가지 주요 활동을 통해 예비항목 50개의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20명의 전문가 의견조사를 시행하였다. 평가항목은 중요성, 시의성, 파급효과 3개 항목별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또한 국내 간호분야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을 살펴보고 방법론적 제언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0년 이후 출판된 간호중재 관련 가이드라인 문헌에 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을 시행하였다.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 및 관련 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요 선행문헌과 동아시아권의 관련 문헌에 대해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선행문헌과 주제범위 문헌고찰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간호민감지표(구조, 과정, 결과 변수)를 한국형 간호민감지표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2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 지표의 중요성, 사용가능성, 측정가능성에 대한 의견 조사를 시행하였다.
국내 임상 현장의 간호중재 수행관련 현황,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초점집단면담을 수행하였으며 간호중재 수행관련 환자안전을 증진시키기 위한 의료기술평가 관점의 협력적 발전방안을 모색하고자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 연구 결과
1.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 연구항목 우선순위 선정
우선순위 항목 10순위의 주제로는 고위험/고주의 약물 투약방법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개발, 섬망환자의 비계획적 카테터 발관 감소를 위한 실무지침 개발, 간호간병통합병동에서의 낙상예방 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투약오류 감소를 위한 건강정보기술 효과, 투약 오류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수술후 체내 이물질 잔류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노인의 아급성 치료단계에서의 낙상 예방 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낙상위험 평가도구의 환자안전 영향 평가, 낙상위험요인 분석 및 원인분석에 따른 낙상예방 전략 개발, 노인 입원환자의 섬망예방 및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항목으로 나타났다. 주제 분야별로 높은 평균 점수의 분야로는 투약안전(11.8점), 혈류감염 예방(11.7점), 낙상예방(11.5점), 수혈안전(11.5점)이었다.
2. 국내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현황 및 방법론적 특성 검토
2010년 이후 출판된 간호중재 관련 가이드라인 문헌 39편에 대한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개발 그룹에 실무 전문가가 참여한 가이드라인이 66.7%였으며, 다학제가 참여한 가이드라인은 17.9%이었다. 개발자별 구체적 역할을 명시한 가이드라인은 2.6%였고, 학회 또는 협회에서 개발자금을 받은 가이드라인이 43.6%였다. 방법론적인 특성으로는 대부분 국외 가이드라인을 수용 개작하였으며, 방법론 전문가의 참여가 60%를 넘지 못했다. 대부분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나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미흡한 점이 있었다. 합의 기준이나 합의 방법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경우, 또는 근거수준이나 권고등급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경우가 각각 10% 이상에 달했으며 근거수준 및 권고등급 시 사용한 기준이 매우 다양하였다. 또한 개별 가이드라인 당 많은 권고안을 개발하고 있었으며 개정계획에 대한 언급은 가이드라인의 64.1%에서만 다루고 있었다. 국내에서 개발된 간호중재 가이드라인의 방법론적 측면의 강점으로는 대부분의 가이드라인이 체계적인 검색을 실시하였던 점, 권고등급 및 근거수준을 제시하였던 점이었다. 그러나 제한점으로는 59% 정도의 간호중재 가이드라인에서만 방법론자들이 개발그룹에 참여하였으며 다학제적 협력이 17.9%에 그쳤다는 점이다. 또한 최근 들어 이해관계 상충의 관리가 중요하게 부각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관리기준이 미확인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3.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 및 관련 변수 제시
동아시아 국가에서 조사된 간호민감지표를 파악하고 변수 간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시행하여 총 46편의 문헌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간호민감지표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Donabedian의 의료 질 평가 모델의 구조, 과정, 결과 변수로 분류하고, 각 변수를 병원 중점, 간호사 중점, 환자 중점 변수로 구분하여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간호사 확보 수준이 가장 다빈도로 조사된 구조 변수였으나, 해당 변수에 대한 정의와 측정 방법이 연구마다 상이한 문제점이 관찰되었다. 환자 사망률은 가장 다빈도로 조사된 환자 결과 변수였으며, 욕창이 그 뒤를 이었다. 본 문헌고찰에서는 2편 이상의 연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보고된 변수간 관계를 확인하였는데, 간호근무환경과 간호사 확보수준과 같은 구조 변수는 다양한 환자 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임이 확인되었다.
전문가 의견조사 결과, 중요성이 가장 높은 지표는 간호사-환자 비율 또는 환자-간호사 비율이었으며, 사용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표는 욕창이었고, 측정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표는 간호사-환자 비율 또는 환자-간호사 비율이었다. 이중, 중요성, 사용가능성, 측정가능성이 모두 가장 높은 지표는 간호사-환자 비율 또는 환자-간호사 비율 지표였다. 기타 의견으로는 구조, 과정, 결과 지표 중 특히 구조 지표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으며, 특정 지표들은 객관적이고 명확한 측정이 어려울 수도 있다고 하였다.
4. 환자안전 향상을 위한 간호돌봄 중재 수행관련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급성기 병원에서의 환자안전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활동시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부족한 간호인력이었으며 간호사 개별 실무역량 향상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이 부족하고 의료자원 관련 인프라도 부족한 점을 장애요인으로 꼽았다. 간호중재 수행 활성화 방안의 대표적인 의견으로는 의료수가 조절을 통한 간호중재 수행의 활성화와 리더쉽, 간호사 1인당 전담 환자 수 축소 등이었다. 기관차원의 개선방안으로는 병원 차원의 우수 간호사 육성과 간호사 처우개선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연구 및 공공분야 차원의 개선방안으로는 실무지침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구체적 임상 사례를 반영했으면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임상현장 전문가들의 학생 교육기회 확대와 교육과정 지원 확대를 통한 간호학 학생 및 신규간호사들의 실무능력 함양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국가 차원의 개선사항으로는 간호수가 개발 및 상향 조정을 통한 처우 개선이 요구되며 현장에서의 역할과 책임의 명확한 구분을 통해 간호사들이 간호업무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달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요양병원에서의 간호중재 수행관련 대표적인 장애요인으로는 부족한 간호인력, 간호조무사 등 대체 인력에 대한 교육 부족, 동료 의료인들의 직업의식 부족, 의료장비 부족 및 사회의 부정적 인식 등의 의견이 제시되었다. 요양병원에서의 환자안전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활성화 방안의 의견으로, 기관차원에서는 경영진의 리더쉽 강화 및 QI에 대한 교육 필요, 인력 및 시설에 대한 지원 필요 등의 의견이 다수였다. 연구 및 공공분야의 개선사항으로는 요양병원 맞춤형 교육을 통한 요양병원 전문인력 육성과 고령 시대에 맞는 간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고 적정성 평가 및 인증평가 등 관련 기준에 대한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국가차원에서는 간호수가 개발 및 상향 조정을 통한 처우 개선을 요구하는 의견과 요양병원에 대한 지원금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하여 관리의 질을 향상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제시되었다.
▢ 의료기술평가 측면의 협력적 발전방안
본 연구는 보건의료서비스 및 안전 강화를 위한 간호중재 관련 주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과학적 근거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한 협력적 발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관련 연구현황 및 근거 현황을 검토하고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 및 관련변수를 제시하였으며 연구원과 협력할 수 있는 연구적 측면 및 정책적 측면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적 측면으로는 연구원에서 그간 의학분야의 특정 기술에 국한된 의료기술평가 연구들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의료기술의 안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데 공적 연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의미있게 수행해 나가기 위하여 간호분야와도 협력적 관계를 도모하고 의료기술평가 연구 및 간호서비스 관련 가이드라인을 협력하여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의학, 간호학, 기타 전문 분야와의 다학제적 연관성을 가지면서 제공되는 보건의료서비스 항목에 있어 근거기반 권고(가이드라인, 실무 지침 등) 개발의 요구도가 높은 현실을 감안하여 학제간 또는 다학제적인 협력연구 수행과 권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향후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개발 시 개별 간호중재 가이드라인에서 다루는 범위를 구체화하고 범위를 축소화하여 개발 방법론의 엄격성을 보다 추구하는 방향으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기획 단계에서 개발자들은 임상간호 현장의 필요(need)가 특정 주제의 권고안들을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가이드라인 인지, 아니면 일부 범위의 실무에 대한 권고를 다루는 가이드라인 인지를 논의할 필요가 있다. 방법론적인 측면에서는 이해관계 상충에 대한 관리 및 이에 대한 보고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방법론 전문가 참여 및 다학제 전문가와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하겠다.
간호민감지표 관련 문헌고찰의 결과, 기존 문헌에서는 도출되지 않았던 다양한 간호민감지표 결과 변수가 동아시아권 국가의 연구에서 조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점은 연구마다 다른 결과 지표를 사용하였기 때문일 수 있다. 결과 지표에 대한 간호의 성과를 명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측정하고자 하는 결과 지표에 대한 합의와 표준화된 측정기준이 필요하다. 또한 결과변수 중 간호민감지표로 선정된 욕창이나 손상을 동반한 낙상과 같은 지표는 연구항목으로도 순위가 높았으므로 간호분야에서의 중요도가 높은 항목이라고 판단되므로 협력적 주제 영역으로 고려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정책적 측면으로는 국내 적용타당한 간호민감지표 및 관련변수를 파악한 결과, 구조 변수 중 간호사-환자 비율 또는 환자-간호사 비율, 인력 구성, 간호사 경력이, 결과 변수 중에서는 욕창, 손상을 동반한 낙상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구조, 과정, 결과 지표 중 구조 지표가 적정 수준 이상 충족되어야 긍정적인 과정 혹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대부분의 전문가들의 의견이 합일되는 바 구조 지표가 우선적으로 충족되는 방향으로 보건의료체계 및 의료기관의 정책적 의사결정이 필요하겠다. 또한, 국내 의료기관의 평가 지표에 대한 수용성을 현실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결과 지표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저항과 장애가 예상되어 결과 지표보다는 구조 지표를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문헌고찰 결과는 간호사 확보수준과 간호근무환경 개선이 간호 업무 누락 감소를 가능케 하고, 이는 궁극적으로 간호사의 직무 만족을 향상시키고, 소진을 감소시키며, 환자 케어의 질과 환자안전 향상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함을 보여준다. 이에, 의료기관에서 환자에게 안전하고 양질의 케어를 제공할 수 있으려면 간호사 확보수준과 간호근무환경의 개선이라는 구조적 뒷받침이 필요하며, 해당 관련성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하여 더 많은 국내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주요어 간호, 환자안전, 간호중재, 가이드라인, 간호민감지표
▢ Backgrou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recommended strengthening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a patient safety system in each country since 2000, emphasizing patient safety as the most critical healthcare issue. In 2004, the United States National Quality Forum published 15 nursing-sensitive outcomes (NSOs) that can occur in hospitals, including falls, urinary tract infections, and bedsores, agreed upon through a national consensus. The forum recommended prioritizing them for research and policy, and hence, related research activit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However, consensus is lacking in Korea regarding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variabl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Korean context, and no related studies have been systematically reviewed. Research has been limited to evidence generation and synthesis in medicine and healthcare policies. However, the need to provide information to enhance the safety of healthcare services has been emphasized more recently, and nursing interventions have been significantly impacting the quality of healthca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ise nursing interventions by considering the priority areas for enhancing patient safety in Korea to improve and advance the research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research institutes in the future and to explore development measures in research institutes and the nursing field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safety of healthcare services by proposing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pplicable to the Korean context.
▢ Objective
This study sought to propose a collaborative development plan for continuously creating scientific grounds by determining priority topics related to nursing care intervention and presenting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pplicable to Korea to enhance healthcare services and safety. To this end, first, the nursing-related research topics and the nursing care intervention item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patient safety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are identified.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guideline development in Korean nursing is examined, and methodological suggestions are presented. Third, the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related variables applicable to Korea are presented. Fourth, priority nursing care intervention-related research items derived for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collaborative development measures are proposed.
▢ Methods
A survey regarding preliminary items related to nursing interventions was conducted for selecting priority items for nursing care intervention research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tems related to nursing interventions were selected among the research items from relevant institutions for patient safety in major countries, and the literature of systematic reviews on patient safety-related nursing interventions was reviewed. Opinions of practicing experts were also collected. Through the three primary activities, 50 preliminary items were selected for nursing interventions related to patient safety. These items encompassed 10 areas of topics in patient safety, older adults, and other fields presented in Park et al. (2020). Twenty experts were surveyed to determine priority. The three assessment items of importance, timeliness, and impact were investigated using a 5-point scale. Furthermore, the scoping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shed since 2010 on guidelines related to nursing interventions was review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development of nursing guidelines and to derive methodological suggestions.
The scoping review of major prior literature and related literature from East Asia was performed to identify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related variables applicable to Korea. A survey of each indicator's importance, utility, and measurability was conducted among 20 experts on the use of the Korean nursing-sensitive indicators (i.e., structures, processes, and outcome variables) derived from the review of prior literature and subject rang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urrent implementation status of nursing interventions and implementation-related obstacles. Moreove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improvement measures and expert discussions were held to obtain expert opinions to explore collaborative development measures within the nursing field for promoting patient safety.
▢ Results
1. Priority setting of nursing intervention research item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Ten priority topics were identified. These were the development of simulation training programs for high-risk and high-caution drug administration methods, practical guidelines for reducing unplanned catheter extubation in patients with delirium, fall prevention intervention guidelines for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for reducing medication errors,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ng foreign bodies left in the body during operations, intervention guidelines for fall prevention in the elderly during the subacute therapeutic stage, fall prevention strategies according to the factor and cause analysis of fall risk, and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s, assessment of the impact of patient safety using fall risk assessment tools, and determination of the effects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in reducing medication errors. The topics with high mean scores in each area were medication safety (11.8 points), bloodstream infection prevention (11.7 points), fall prevention (11.5 points), and blood transfusion safety (11.5 points).
2. Review of the statu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in Korea
The review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39 nursing intervention- related guideline studies published since 2010 showed that 66.7% of the guidelines were developed with the participation of practicing experts and 17.9% were developed with multidisciplinary participation. Moreover, 2.6% of the guidelines specified each developer's role, and development funds were received from academic societies or associations for 43.6% of them. In terms of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uidelines, most were adopted from overseas studies and modified, and the participation of methodology experts did not exceed 60%. Most of the studies were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but they had the following limitations in terms of methodology. The proportion of cases with no mention of criteria for agreement or the method of agreement and the proportion of cases with no mention of the level of evidence or strength of recommendation were over 10% each, and the standards used under a certain level of evidence or strength of recommendation were diverse. Moreover, many recommendations were based on individual guidelines, and only 64.1% of the guidelines covered references to the revision plan. The methodological strengths of the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developed in Korea were that systematic searches were conducted for most guidelines, and the strength of recommendation and level of evidence were presented. On the other hand, the limitations were that only 59% of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involved methodologists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only 17.9% resulted from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Additionally, although managing conflicts of interest gained importance in recent years, management standards as such were not confirmed in most cases.
3.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related variables applicable to Korea
Total of 46 articles were selected through scoping review to identify the nursing-sensitive indicators investigated in East Asian countries an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nursing-sensitive indica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variables of the Donabedian Model of quality of healthcare, and the relevance of the variables was exa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hospital-focused, nurse-focused, and patient-focused variables. While nurse staffing was th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structural variable, there was an issue of definitions and measurement methods for the variable being inconsistent across different studies. The most frequently investigated patient-related outcome variable was patient mortality, followed by bedsores. In this review, th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variables report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wo or more studies, and it was confirmed that structural variables, such as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staff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various patient outcomes.
According to the expert survey, the most important indicator is the nurse-patient or patient-nurse ratio, the indicator with the highest utility is bedsores, and the indicator with the highest measurability is the nurse-patient or patient-nurse ratio.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usable, and measurable indicator is the nurse-patient or patient-nurse ratio. Other opinion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tructural indicators among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indicators, and it was stated that objective and accurate measurement of certain indicators may be difficult.
4. Obstacles and improvement measures related to nursing care interventions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The biggest obstacle to nursing intervention activities for promoting patient safety in acute care hospitals was insufficient nursing staff, and the obstructive factors identified were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to improve individual nurses' practical competency and insufficient infrastructure related to medical resources. The most prominent opinions regarding the plan to revitalize nursing intervention performance involved the control of nursing costs related to nursing interventions, leadership, and the reduction of the number of dedicated patients per nurse. Support for fostering excellent nurses and improving the treatment of nurses at the hospital level was suggested in terms of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and continuous updating of practice guidelines and reviewing specific clinical cases were suggested as improvement measures at the research and public services level. In addition, the cultivation of the practical skills of nursing students and new nurses by expanding student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upporting the curriculum of experts in the clinical field was considered necessary. Regarding impro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the suggestion was to improve wage and benefi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upward adjustment of nursing costs an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nurses would be able to focus only on nursing work through a clear distinction between Roll & Responsibilities in the field.
Insufficient nursing personnel, inadequate education on alternative personnel, such as nursing assistants, lack of job consciousness of fellow healthcare providers, lack of medical equipment, and negative societal perceptions were noted as the most common obstacles to nursing intervention activiti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Many voiced the need for greater management leadership, education on QI, and support for personnel and facilities for nursing intervention measures at the institutional level to promote patient safety in long-term care hospitals. Regarding improvements in research and public services, the need to foster long-term care hospital professionals through customized education on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o establish a nursing system suited for older adults was mentioned. Moreover, opinions were made that standards related nursing interventions, such as quality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evaluation, need to be reorganized. For improvements at the national level, many recommended improving treatmen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upward adjustment of nursing costs and improving management quality through the enhancement of monitoring related to subsidies for long-term care hospitals.
▢ Implications
In an effort to derive priority topics related to nursing interventions for enhancing healthcare services and patient safety and to explore collaborative development measures for continuously creating scientific evidence,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related research and evidence, presented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related variables applicable to Korea, and explored measures to develop research and policy aspects in collaboration with research institutes.
In terms of research, as the medical technology evaluation studies of research institutes have been limited to specific technologies in the medical fiel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ir role as public research institutes to improve patient safety and enhance the safety of medical technologies. To achieve this goal, it is necessary to foster a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 nursing field and collaboratively develop guidelines related to studies on medical technology evaluation and nursing servi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interdisciplinary or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ve research and develop recommendations that consider the reality of the high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e.g., guidelines and practical guidelines) for healthcare service items with multidisciplinary connections to medicine, nursing, and other professional fields. To develop future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it is necessary to reduce and refine the scope covered by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and further pursue a rigorous development methodology. In this regard, developers must discuss in the planning stage of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whether the clinical nursing field needs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that include comprehensive recommendations on specific topics or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that cover practical recommendations targeting a specific portion of the scope. Regarding the methodological aspect, management and reporting of conflicts of interest should be improved, and the participation of methodological experts and cooperation with multidisciplinary experts should be reinforced.
The literature review on nursing-sensitive indicators revealed that various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outcome variables that were not derived in prior studies were investigated in East Asian countries. This difference may be due to the use of different outcome indicators in each study. To categorically identify nursing performance with outcome indicators, consensus on the outcome indicators to be measured and standardized measurement criteria are required. In addition, nursing-sensitive indicators, such as bedsores and injurious falls, also ranked high in terms of priority of research items among the selected outcome variables, so they were considered items of high importance in the field of nursing and valid as a collaborative topic area.
With regard to policy, the nurse-patient or patient-nurse ratio, workforce composition, and nursing experience were identified as nursing-sensitive indicators and related variables applicable to Korea for structural variables and bedsores and injurious falls were identified as outcome variables. In particular, most experts agreed that positive processes or results can only be expected if the structural indicators among the structure, process, and outcome indicators meet an appropriate level, and therefore, policy decision-making in which structural indicators are preferentially satisfied is required in the healthcare system and medical institutions. Moreover, as resistance and difficulties in using the outcome indicators are expected when realistically considering the acceptability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using and evaluating structural rather than outcome indicators. The literature review results revealed that improving the level of nurse staffing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enables the reduction of omitted nursing work, which in turn increases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decreases exhaustion, and facilitates the improvement of patient care quality and patient safety. Accordingly, to provide safe and high-quality care to patients in medical institutions, structural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nurse staffing and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more domestic studies will be needed to demonstrate its relevance.
▢ Acknowledgement
This study was supported by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Grant number NC22-001, NC23-001)
Key words Nursing, Patient safety,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 Health technology assessment